01. 표현식 & 문장
- 어떤 값을 만들어내는 간단한 표현을 표현식(Expression)
- 표현식이 하나 이상 있을 경우 문장(Statement)
- 문장이 여러 개 있을 경우 프로그램(Program)
※ 예시 code는 google-colab에서 돌려서 결과 캡처
scores = [910, 850, 950, 970, 960, 880]
for i in scores:
print(i)
02. 식별자
- 식별자(identifier)는 변수, 함수 등에 이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
- 식별자 만들 때 기본 원칙
- 예약어 사용 불가(if, while 등)
- 특수 문자는 언더 바(_)만 사용 가능
- 숫자로 시작 안됨
- 공백 포함 안됨
- 식별자 작성 방법
- 스네이크 케이스
: 단어 사이에 언더 바(_) 포함
- 캐멀 케이스
: 단어 첫 글자 제외한 각 단어 첫 글자를 대문자로 작성
- 파스칼 케이스(캐멀 케이스와 유사)
: 단어들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는 방법
data_science, stock_market
dataScience, stockMarket
DataScience, StockMarket
03. 주석과 출력
- 주석 : 프로그램에 전혀 영향 주지 않는 코드(프로그램 설명 목적)
print("Hello, Python")
04. Python 인기 이유
- C, C++ 에 비해 10~350배 가량 느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친화적이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최근에는 머신러닝, 딥러닝 프레임워크 활용이
편리해서 가장 대중적인 언어가 되었음.
그래도 공공기관에 전산직렬 뽑는 곳들 보니까 JAVA를 요구하기도 하더라. 아마도 기존에 사용하던 Legacy한 system이 JAVA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런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