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6) 자료형(1)

slow_starter·2025년 4월 25일
0

모두의연구소-DS4기

목록 보기
6/30
post-thumbnail

01. 숫자 자료형

  • int(정수형), float(실수형)
# 둘이 같은 값이어도, 출력되는 형태가 다름!
type(0) # int로 출력됨
type(0.0) # float로 출력됨

02. 숫자 연산

  •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눗셈 몫(//) 정수형
  • % 나눗셈 나머지, ** 제곱
# 사칙연산 예시
a= 10, b=3 # a는 10, b는 3 할당
print(f'a 더하기 b는 "a+b"로 계산하고 {a+b}입니다.')
print(f'a 빼기 b는 "a-b"로 계산하고 {a-b} 입니다.')
print(f'a 곱하기 b는 "a*b"로 계산하고 {a*b} 입니다.')
print(f'a 나누기 b는 "a/b"로 계산하고 {round(a/b,3)} 입니다.')
print(f'a 나누기 b의 몫은 "a//b"로 계산하고 {a//b}입니다.')
print(f'a 나누기 b의 나머지는 "a%b"로 계산하고 {a%b}입니다.')

  • 복합 대입 연산자 : 연산과 할당을 합쳐놓은 연산자
# 복합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a=7
a = a+1 # a+1을 a에 할당
print(a) # 그러면 a가 8이 출력!
# 복합 대입 연산자 쓰는 경우
a=7
a+=1 # a에 1을 증가한 숫자만큼을 계산하고, 할당한다!(복합대입)
print(a) # 역시 8이 출력됨

03. 문자열

  • 문자열 만드는 방법
    (1) 큰 따옴표 "" 사용
    (2) 작은 따옴표 ''사용
    (3) 큰 따옴표 연속 3개 """ 사용
    (4) 작은 따옴표 연속 3개 ''' 사용
  • 숫자형에도 따옴표 둘러싸면 문자형이 된다.
  • 여러 줄인 문자열 사용할 때 """, ''' 사용

04. 문자열 다루기

  • 문자열에서 +는 '연결'
  • 문자열에서 *는 '반복'
  • 숫자+문자 연산 되지 않으나, 숫자를 문자로 형변환하면 연산 가능
# 
print(str(2002) + ' World Cup')
  • 문자열 길이 구할 때 len() 함수 사용
  • 인덱싱은 0에서부터 시작!(R만 1에서부터 시작!)
profile
2025화이팅!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