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숫자 자료형
type(0)
type(0.0)
02. 숫자 연산
-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눗셈 몫(//) 정수형
- % 나눗셈 나머지, ** 제곱
a= 10, b=3
print(f'a 더하기 b는 "a+b"로 계산하고 {a+b}입니다.')
print(f'a 빼기 b는 "a-b"로 계산하고 {a-b} 입니다.')
print(f'a 곱하기 b는 "a*b"로 계산하고 {a*b} 입니다.')
print(f'a 나누기 b는 "a/b"로 계산하고 {round(a/b,3)} 입니다.')
print(f'a 나누기 b의 몫은 "a//b"로 계산하고 {a//b}입니다.')
print(f'a 나누기 b의 나머지는 "a%b"로 계산하고 {a%b}입니다.')

- 복합 대입 연산자 : 연산과 할당을 합쳐놓은 연산자
a=7
a = a+1
print(a)
a=7
a+=1
print(a)
03. 문자열
- 문자열 만드는 방법
(1) 큰 따옴표 "" 사용
(2) 작은 따옴표 ''사용
(3) 큰 따옴표 연속 3개 """ 사용
(4) 작은 따옴표 연속 3개 ''' 사용
- 숫자형에도 따옴표 둘러싸면 문자형이 된다.
- 여러 줄인 문자열 사용할 때 """, ''' 사용
04. 문자열 다루기
- 문자열에서 +는 '연결'
- 문자열에서 *는 '반복'
- 숫자+문자 연산 되지 않으나, 숫자를 문자로 형변환하면 연산 가능
print(str(2002) + ' World Cup')
- 문자열 길이 구할 때 len() 함수 사용
- 인덱싱은 0에서부터 시작!(R만 1에서부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