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 | 설명 |
---|---|
== | 두 값이 같은지 비교 |
!= | 두 값이 다른지 비교(다르면 True) |
< | 우변이 좌변보다 큰지 비교 |
> | 좌변이 우변보다 큰지 비교 |
<= | 우변이 좌변보다 크거나 같은지 비교 |
>= | 좌변이 우변보다 크거나 같은지 비교 |
# 가장 기본적인 형태
if 10 > 8 :
print("10은 8보다 큽니다.") # 스페이스4번/Tab(스페이스4번 권장)
# 시험 점수가 80점 이면 pass 아니면 fail이 출력되게 하자
score = 85
if score > 80 :
print("pass")
else:
print("fail")
# 이 python-code는 pseudo-code임(실제 작동하는 코드X)
if 조건_1 :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elif 조건_2 :
수행할 문장3
수행할 문장4
else :
수행할 문장5
수행할 문장6
어떤 대학에서 통계학 입문과목 학점을 아래와 같이 준다고 가정해보자
- A+ 97이상, A0 94 이상, A- 90이상
- B+ 87이상, B0 84 이상, B- 80이상
- C+ 77이상, C0 74 이상, C- 70이상
- D+ 60이상, F 60 미만
# 위에서 주어진 상황을 if-elif-else로 만들어보자
raw_score = 85 # 실행하면 B0가 나옴
if raw_score >= 97: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A+ 입니다.')
elif raw_score >= 94: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A0 입니다.')
elif raw_score >= 90: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A- 입니다.')
elif raw_score >= 87: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B+ 입니다.')
elif raw_score >= 84: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B0 입니다.')
elif raw_score >= 80: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B- 입니다.')
elif raw_score >= 77: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C+ 입니다.')
elif raw_score >= 74: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C0 입니다.')
elif raw_score >= 70: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C- 입니다.')
elif raw_score >= 60: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D+ 입니다.')
else:
print(f'원점수는 {raw_score}이고, 학점은 F 입니다.')
위와 같이 조건문을 여러 개 쓰면, 실수하기도 쉽고 유지보수하기도 어려움
그래서 다음 게시물에서 다룰'반복문'을 통해 좀 더 간명하게 표현해 보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