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 리스트 사용 예시
a = [3, 13, 23, 33, 43] # 수치형 요소
b = ["안녕", "하세요", "저는"] # 문자형 요소
c = [1, "1", 2, 3, "안녕"] # 수치형, 문자형 요소
d = [1, 2, [3,4,5], 6] # 리스트 안에 리스트 포함
print(a[1]) # 두 번째 요소인 13이 나옴 (인덱싱, 슬라이싱 가능!)
# 리스트 관련 기초적 연산
a = [1,2,3]
b = [4,5,6,7]
print(a+b) # [1,2,3,4,5,6,7]
print(len(a) + len(b)) # 7
print(a*2) # [1,2,3,1,2,3]
# 리스트 관련 함수 활용 예시(append)
list_a = [1,2,3,4]
list_a.append(11)
print(list_a) # [1,2,3,4,11]
# 리스트 관련 함수 활용 예시(pop)
list_b = [5,6,7,8,9]
list_b.pop() # 이러면 9가 나오게 됨, 그리고 다시 list_b를 호출하면 [5,6,7,8]이 나옴
dictionary_1 = {'Key1':'Value1', 'Key2':'Value2', ...}
# 딕셔너리(영어사전) 만들기?
dict1 = {'Procrastinate' :'미루다', 'evaluate':'평가하다'}
연산 종류 | 기호 | 함수 | 설명 |
---|---|---|---|
합집합 | | | union() |
두 집합의 모든 원소 |
교집합 | & | intersection() |
두 집합에 모두 있는 원소 |
차집합 | - | difference() |
왼쪽 집합 원소 중 오른쪽 집합 원소를 뺀 것 |
배타적 차집합 | ^ | symmetric_difference() |
한쪽 집합에만 있는 원소의 합 |
# 변수 할당하기 (튜플 형태)
a, b, c = 900, 800, 920
print(b) # b값 800 이 나옴
# 리스트로도 변수 할당 가능
[x_a,x_b] = [10,20] # x_a에 10, x_b에 20 할당
print(x_a) # 10이 나옴
# 여러 변수에 같은 값 할당도 가능
f = g = h = 100 # f, g, h에 100 할당
# 위 방법 응용해서 변수를 바꿀 수도 있음
k1 = 800
k2 = 900
k1, k2 = k2, k1
print(k1) # 900이 나옴
print(k2) # 800이 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