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수검정의 평균값 비교
일표본 t검정: 어떤 평균값의 모집단에서 표본을 얻었는가를 조사
이표본 t검정
대응 관계가 없는 검정, 대응 관계가 있는 검정
피험자들의 차이 = 0
피험자들의 차이 != 0
정규성 조사
등분산성 조사
t검정과 분산분석에는 데이터가 분산이 같은 모집단으로부터 획득되었다는 조건이 필요하다.
분산이 같다는 가설을 조사하는 검정: 바틀렛 검정, 레빈 검정
- 귀무가설 "2개 모집단의 분산은 같다." <- p>=0.05
- 대립가설 "2개 모집단의 분산은 같지 않다." <- p<0.05
비모수검정의 대푯값 비교
분산분석(3개 집단 이상의 평균값 비교)
다중비교 검정
범주형 데이터
이항검정
하나의 범주가 확률 P, 또 하나의 범주가 확률 1-P로 나타나는지를 조사
p값은 이항분포를 따른다.
p = 0.043 -> 유의수준 α=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카이제곱검정: 적합도검정
범주가 2개 이상일 때, 더 일반적인 이산확률분포에 이항검정의 방식을 적용하고 싶은 때 쓰는 검정
카이제곱검정: 독립성검정
피어슨 상관계수
비모수 상관계수
상관계수와 가설
비선형상관
'X가 Y에 관해, 또는 Y가 X에 관해 어느 정도의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관점에서 관계성 강도를 정량화하는 것
회귀분석이란?
회귀분석을 실행할 때 중요한 점은?
-- 어떤 회귀식을 적용할 것인가?
-- 어떻게 회귀식을 데이터에 적용할 것인가?
-- 얻은 회귀모형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회귀계수
E(a^) = a
E(b^) = b
최량선형비편향추정량: 최소제곱법으로 얻은 추정량은 비편향추정량 중에서도 가장 정밀도가 높은(분산이 작은) 비편향추정량이 된다
결정계수
회귀식이 잘 들어맞는지 평가하는 지표, 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