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서비스,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층
FTP : 장치 간의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
SSH : 보안되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토콜
HTTP : World Wide Web 을 위한 데이터 통신의 기초이자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쓰는 프로토콜
SMTP : 전자 메일 전송을 위한 인터넷 표준 통신 프로토콜
DNS :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해주는 서버
패킷 사이의 순서 보장, 연결지향 프로토콜 사용, 신뢰성 구축,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 사용
TCP 는 신뢰성을 확보할 때 3-way handshake 작업 진행
ISN ( Initial Sequence Numbers ) : 초기 네트워크 연결 시 할당된 32비트 고유 시퀀스 번호
4-way handshake 작업
TIME_WAIT 에서 연결을 일정 시간 뒤에 닫는 이유 :
1. 지연 패킷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
2. 두 장치가 연결이 닫혔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순서 보장X, 수신 여부 확인 X, 단순이 데이터만 주는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사용
IP, ARP, ICMP
장치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패킷을 IP 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층
패킷을 수신해야 할 상대의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달함. 비연결형(상대가 제대로 받았는지에 대해 보장하지 않음)
이더넷
전선, 광섬유, 무선 등으로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장치 간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
을 이루는 이더넷은 IEEE802.3 이라는 프로토콜을 따르며 전이중화 통신 사용
전이중화 통신 :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
반이중화 통신 : 양쪽 장치는 서로 통신할 수는 있으나, 동시에는 통신할 수 없으며 한번에 한 방향만 통신할 수 있는 방식
CSMA/CA :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캐리어 감지 등으로 사전에 가능한 한 충돌을 방지하는 방식 사용
CSMA/CD : 데이터를 보낸 이후 충돌이 발생한다면 일정 시간 이후 재전송
캡슐화 과정
상위 계층의 헤더와 데이터를 하위 계층의 데이터 부분에 포함시키고 해당 계층의 헤더를 삽입하는 과정
세그먼트 -> 데이터그램 -> 패킷 -> 프레임
제어 관련 정보들이 포함된 ‘헤더’
데이터를 의미하는 ‘페이로드’
Application Layer : 메시지
Transport Layer : 세그먼트 (TCP), 데이터그램(UDP)
Network Layer : 패킷
DataLink Layer : 프레임
Physical Layer : 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