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주파수를 통해 물체나 사람을 식별하는 인식 시스템으로 바코드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먼 거리에서도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움직이는 물체도 식별할 수 있고, 사이에 있는 물체를 투과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RFID 태그는 안테나와 직접회로로 이뤄지는데, 직접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판독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목적에 맞는 정보를 입력한 태그를 상품에 접촉한다. 리더에서 안테나를 통해 발사된 무선주파수 태그에 접촉하고, 태그는 주파수에 반응해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나로 전송한다. 안테나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조해 리더에 전달하고, 리더는 데이터를 해독해 컴퓨터 등으로 전달한다.
NFC의 연결 범위는 최대 10cm, RFID는 최대 100m
NFC는 자체적으로 데이터 읽기 쓰기 모두 사용 가능
RFID는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NFC는 암호화가 가능해 보안성이 높다.
NFC는 모바일 기기와 같은 개인 단말기에 사용되고, RFID는 물류 산업에 이용된다.
정해진 국제적 규격이 없어서 나라별로 주파수가 달라 호환성 문제가 발생한다.
보안성 문제도 제기된다.
예시
[세상을 바꾸는 무선통신기술] 제2탄. 무선주파수기술의 장거리선수! ‘RFID’
https://bit.ly/3vSYXpg
[테크월드] 삑 그리고 다음! 친숙한 RFID기술의세계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051
RFID 시스템의 보안취약점과 대응 방안에 대한 동향 연구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CFKO201529368417568.pdf
+
RFID는 보안성이 낮으므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들을 고려해보는게 좋을 듯 함 EX) 이중인증,,
깊게 연구하게 된다면 RFID를 이용한 해상물류 관리를 현 문제점과 다른 기술과의 접목(무인 선박 쪽?) 및 보안 방안 후 전 후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