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eal 전자봉인

박소정·2022년 4월 21일
0

개념정리

목록 보기
4/5

개념

기계적인 봉인장치와 능동형 RFID가 결합된 형태로 e-Seal의 파손 유무 확인, 물리적인 보안, 데이터 정보 처리 등이 가능하다. 기계적인 봉인장치와 능동형 RFID가 결합된 형태로 e-Seal의 파손 유무 확인, 물리적인 보안, 데이터 정보 처리 등이 가능하다.

e-Seal의 주파수로는 433MHz 외에도 916.5MHz, 2.45GHz 등이 사용되고 있다.

433MHz 능동형 RFID의 국제표준은 ISO/IEC JTC 1/SC31에서 무선규격 및 적합성 관련 기술표준들을 제정하며, 이의 응용표준인 e-Seal은 ISO TC104에서 진행한다.


능동형 RFID 시스템

능동형 RFID 시스템은 리더, 태그, 호스트 등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리더는 전파 방식에 의해 다수의 태그와 통신을 하며, 리더는 유선의 이더넷을 통해 호스트로 직접 연결되거나 WLAN을 통해 AP와 우선 접속한 후 이더넷을 통해 최종적으로 호스트와 연결될 수도 있다.

능동형 RFID 태그는 수동형 RFID 태그와는 달리 자체적으로 내부배터리 및 송신장치도 내장하고 있어 스스로 송신할 수 있는 RF 단말장치다. 능동형 RFID 태그는 비교적 긴 인식거리를 가지므로 공항이나 항만의 팔레트, 컨테이너 관리, 공장의 부품관리 등 자산추적 관리 시스템에 주로 활용된다.
능동형 RFID 태그는 일반 자산관리를 위한 컨테이너 관리 태그와 컨테이너 보안관리를 위한 전자봉인(e-Seal) 태그로 구분할 수 있다. 컨테이너 관리에 활용되는 능동형 태그는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것도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 대부분이다. 배터리 수명은 수년 이상이다.


SK 전자봉인시스템

석유 제품의 정품, 정량공급을 철저하게 하고 기름 절취사고와 가짜석유 제조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했다.
수송 차량 내 벨브를 비롯해 모든 개폐장치에 전자태그 센서를 부착하고 이를 자사 차량 관제시스템 및 GPS 시스템과 직접 연계해 차량의 실시간 위치와 동선을 확인하고 탱크 개폐여부를 파악하는 관리시스템이다.


레퍼런스

SK, 업계 최초 ‘전자봉인시스템’ 도입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0186
RFID 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8462&docId=3435115&categoryId=58462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