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선박보안(ISPS)
ISPS 제정배경
2001.9.11 테러 이후, 해상화물 운송선박 및 항만시설에 대한 테러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해상분야 보안강화를 위해 IMO에서 ISPS Code (International Ship and Port Facility Security Code) 제정하여 2004.7.1부토 발효되었다.
개요
정부, 항만당국, 해운회사가 준수해야 할 안전 관련 세부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여객선, 총톤수 500톤 이상의 화물선, 이동식 해상 구조물, 항만시설을 포함한 국제 항해 선박에 대한 위험과 안전 평가이다.
목적
선박 및 항만시설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고, 취약사항이 변화함에 따라 정부 측에서 그에 맞는 위협 수준에 대응할 수 있도록 표준화되고 지속적인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적절한 예방조치를 취한다.
- 국가적 및 국제적 차원에서 해상 안전 관련 정부, 당국, 해운사업, 항만산업이 역할 및 책임을 규정한다.
- 보안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전파한다.
- 보안 수준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계획과 절차를 마련할 수 있도록 보안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평가절차
- 국제 항해 선박에 대한 위험과 안전을 평가한다.
- 체약국이 위험 평가에 근거하여 적절한 보안 수준을 정한다.
-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선박보안 계획서와 항만시설 보안계획서를 작성한다.
- ISPS 코드 시행 (훈련과 연습에 관한 조항)
ISPS Code 본선 적용
1) 현문 보안당직
- 무슨 목적으로 승선하는지 확인
- 수화물 점검 및 의심스러운 경우 가방 확인
- 신분증 요구: 얼굴확인 및 이름 등 방문자 승하선 일지에 기록 하고 서명
- 어떤 경우에도 현문을 이탈해서는 안된다.
- 부득이 이탈 시 당직사관에게 보고하고 당직사관으로 하여금 현문 당직에 임하도록 한 다음 이탈한다.
- 각 항구 입항 전 모든 출입문 및 제한구역이 폐쇄되었는지 확인한다.
2) 방문자 통제 및 검색 절차
- 보안 1등급: 본선에 승선하려는 모든 인원의 신원확인, 승선목적 확인 모든 인원의 소지품에 대해 부분적인 점검
- 보안 2등급: 1사항 모두 만족 후 추가로 갑판 순찰자 1명 배치, 모든 인원에 소지품에 대한 폭넓은 부분 점검. 접안 반대측 순찰을 매1시간마다
- 보안 3등급: 모든 인원의 소지품에 대한 완전한 점검 실시
3) 선박 보안 감시/순찰
- 보안 1등급: 감시 장비 없음, 갑판 전구역 및 거주주역 조명, 선내 전구역 육, 해상층 10m 감시범위
- 보안 2등급: 감시 장비 없음, 갑판 전구역 및 거주주역 조명, 선내 전구역 육, 해상층 20m 감시. 해상 측의 보트 순찰 및 육상층의 도보, 차량순찰 가능 여부 항만보안책임자에게 연락하여 협의 또는 지원 요청
- 보안 3등급: 본선주위, 선내공공장소와 통로의 조명 점등, 시야 확보를 위해 스포트라이트와 투광 조명사용. 선체의 수중검사에 대한 준비.
4) 접근제한지역 설정
- 승인되지 아니한 출입을 방지하고, 선박 내부의 중요구역을 보호하며, 여객과 승무원 또는 선박에 승선한 기타 관련된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함
- 접근제한지역에는 식별표시를 해야 하며, 제한된 출입만을 허용함을 원칙으로 함
- 출입을 허가 받은 승객 및 외부인의 인적 정보와 시간등을 “방문자 승/하선 일지” 기록
보안 등급별 조치사항
- 보안 1등급: 적절한 방어적 보안조치가 항상 유지되어야 하며 낮은 위협이다.
- 보안 2등급: 증대된 위협으로 추가의 방어적 보안조치가 위하여야함
- 보안 3등급: 최상위 위협으로 구체적인 방어적 보안조치가 유지되어야 하는 수준
레퍼런스
선박 및 항만시설 보안(ISPS) 코드와 그에 대한 평가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61758480
https://seamstr.tistory.com/entry/ISPS-CODE의-주요-내용과-보안심사-대비-자료-정리 [SEAMAN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