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입 런치박스를 듣고,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해보기로 했다

soleil_lucy·2025년 3월 16일
4

왜 한입 런치박스를 듣게 되었나?

지인이 한입 커뮤니티에서 운영하는 스터디를 추천해주면서 자연스럽게 해당 커뮤니티를 알게 되었다. 이후 커뮤니티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지 둘러보다가 한입 런치박스라는 세미나를 발견했다. 마침 첫 번째 세미나를 신청하는 기간이었고 세미나 주제가 흥미로워 신청하게 되었다.

첫 세미나는 MOTY: 하룻밤 사이에 뚝딱 만든 토이 프로젝트가 더 나은 개발자로 성장하는 여정이 되기까지라는 주제였다. 그동안 내가 진행했던 프로젝트는 짧게는 1주일 길게는 1~2달이었기에 하룻밤이라는 키워드가 눈길을 끌었다. 게다가 더 나은 개발자로 성장하는 여정이라는 표현이 내가 고민하던 어떻게 공부해야 성장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을 줄 것 같아 관심이 생겼다.

첫 세미나를 듣고 나니 이후에도 계속해서 내가 고민하는 주제들(개발자 포트폴리오, 사이드 프로젝트 등)이 다뤄졌고, 덕분에 매주 수요일 12시를 세미나 시간으로 비워두게 되었다. 단순히 인사이트를 얻는 것뿐만 아니라, 나를 행동하게 만들었다.

각 세미나에서 얻은 인사이트는?

총 4번의 한입 런치박스가 열리고 나는 총 3번의 세미나를 들을 수 있었다. 각각의 세미나에서 인상 깊었던 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주차: MOTY : 하룻밤 사이에 뚝딱 만든 토이프로젝트가 더 나은 개발자로 성장하는 여정이 되기까지 | 강동훈

사이드 프로젝트는 거창하게 기획하고 오랜 기간 진행해야 의미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 세미나를 통해 가벼운 프로젝트라도 빠르게 배포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받으며 성장할 수 있다는 걸 배웠다. 특히,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생성형 AI를 활용해 요약한 후 프로젝트에 적용한 사례는 매우 인상적이었다. 중요한 것은 완벽한 프로젝트가 아니라, 실제로 만들어보고 배포하는 경험 자체라는 걸 깨달았다.

2주차: 어서와, 개발자 포트폴리오는 처음이지? | 김송아

개발자로서 효과적인 포트폴리오를 만들려면, 단순한 프로젝트 나열이 아니라 내가 했던 고민과 해결 과정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배웠다. 블로그에 나의 고민, 선택 과정, 해결 방법 등을 정리하여 어필할 수 있다고 하셨다. 이전까지 블로그에 주로 이 기술이 왜 나오게 되었고 어디에 쓰이는지에 대한 주제로 글을 썼었다. 앞으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겪은 문제와 해결 과정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블로그 글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3주차: 전국적 인기를 끌어모은 사이드 프로젝트의 비밀 | 김혜연

나도 한 번 사용해 본적이 있는 원영적 사고 변환기 프로젝트를 개발하신 분은 어떻게 해서 이런 인기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게 됐는지 궁금해져서 듣게 됐다.

이 세미나에서는 인기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배포하는 방법을 배웠다. 특히, SNS에서 화제가 되는 주제를 활용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기획보다는 실행에 집중해 빠르게 배포하는 전략이 인상적이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말은 "저장소를 사이드 프로젝트의 무덤으로 만들지 말라"였다. 완벽한 프로젝트가 아니라도 배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항상 해야지~ 생각만 하고 행동으로 옮기지 않았을까? 라는 반성도 됐다.

한입 런치박스를 들은 후 나는 어떻게 바뀌었나?

한입 런치박스를 듣기 전까지 사이드 프로젝트는 ‘언젠가 해야지’라고 생각만 하고 있었다. 하지만 3주 동안 세미나를 들으며 “일단 시작해보자”는 마음가짐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3월 내에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정산 계산기를 주제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인과 외출할 때 한 사람이 먼저 결제하고 이후 정산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 과정이 번거롭다고 느껴졌다. 그래서 결제 내역을 입력하면 총 결제 금액과 1인 정산 금액을 자동으로 계산해주고, 상대방에게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로 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떤 고민을 했고,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를 블로그에도 기록할 예정이다. 세미나에서 배운 대로 작은 아이디어라도 직접 만들어보고, 배포하고, 피드백을 받아 개선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걸 몸소 실천해보려 한다.

참고 자료

profile
여행과 책을 좋아하는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