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논리회로는 조합논리회로와 달리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설계 시 더욱 신경을 써주어야 한다. 따라서 순서논리회로를 설계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익혀야한다.
상태와 입력값에 따른 상태와 출력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으로 나타낸 것.
특성표가 입력에 따른 다음 상태를 보여주는 표였다면, 여기표는 다음상태를 위해 필요한 요구 입력을 보여주는 관점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상호변환 가능하다.
플립플롭들의 현재 상태만의 함수인 회로로서 출력이 상태내에 결합되어 표시된다.
현재 상태와 입력의 함수인 회로로서 출력은 화살선 위에 표시한다.
회로도 -> 동작이해
변수 선마다 변수명을 부여하여 불대수로 만들 수 있는 틀을 마련한다. 회로 전체의 입출력 변수 뿐만 아니라 플립플롭의 입출력에도 각자 J_A K_A와 같이 변수를 부여해야한다.
변수를 활용하여 플립플롭의 입력과 전체 시스템의 출력을 정리한다.
현재 상태와 입력 다음 상태와 출력을 열로 가지는 상태표를 작성한다.
현재상태는 클록펄스 인가전 상태이며 다음상태는 클록펄스 인가 후 상태를 의미한다.
상태표를 활용하여 상태도로 작성한다.
각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을 카르노맵 또는 불대수식으로 정리한다.
이해한 작동원리를 글로 적는다.
작동과정 -> 회로도
상태도를 그려준다.
상태도를 보고 상태표를 그린다.
형태는 적절한 것을 사용하면 되며 개수는 정의해야할 상태가 n가지 일때 ⌈log_2 n⌉(올림) 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회로를 설계하다보면 필요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상태가 3개라면 플립플롭은 2개를 활용해야하는데 2^2 = 4 이므로 하나의 상태가 남는다. 이때 순서논리회로는 어떠한 상태던 초기상태가 가능하므로 간소화시 무관항으로 처리한다.
만약 미사용상태가 고립된다면 탈출할 방법이 없으므로 항상 주의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