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II와 CRC

Donghwi Kim·2024년 1월 24일
0

잡다한 개발 지식

목록 보기
3/26

아스키코드는 1byte 내에서 모든 걸 다 표현할 수 있다.
때문에 2바이트인 유니코드보다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

7비트 부호체계이며 나머지 1비트는 통신 에러 검출을 위한 용도로 비워져 있다. 이 비트를 ‘패리티 비트(Parity Bit)’라고 하며 전송 도중 신호가 변질된 것을 수신측에서 검출해낼 수 있도록 하였다.

CRC란 순환 중복 검사이며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주어진 데이터의 값에 따라 CRC 값을 계산하여 데이터에 붙여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이 끝난 후 받은 데이터의 값으로 다시 CRC 값을 계산하게 된다. 이어서 두 값을 비교하고, 값이 다르면 전송 과정에서 잡음 등에 의해 오류가 덧붙여 전송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데이터 뒤에 확장 데이터를 덧붙여 보내는 방식이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