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란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인터프리터(interpreter) 프로그램 실행시 한 번에 한 문장씩 번역한다. 때문에 컴파일러보다 실행시간이 더 걸리지만 메모리 효율이 좋다. 컴파일러처럼 목적코드를 만들지도 않고, 링킹 과정도 거치지 않기 때문이다. 인터프리터는 한 문장씩 번역될때 오류를 만
아스키코드는 1byte 내에서 모든 걸 다 표현할 수 있다.때문에 2바이트인 유니코드보다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7비트 부호체계이며 나머지 1비트는 통신 에러 검출을 위한 용도로 비워져 있다. 이 비트를 ‘패리티 비트(Parity Bit)’라고 하며 전송 도중 신호가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를 5계층으로 나누어 표준화한 것. 이러한 5계층 중 3계층과 4계층을 강조해 TCP/IP 5계층이라고 한다.L1: 물리 계층(Physical layer)기기들이 연결되기 위한 물리적인 사항(전선, 전압 등)을 정한다. 구리선, 광케이블, 무선 전파
와이파이(WiFi) - Wireless Fidelity의 약자로 무선접속장치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 안에서 무선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 \- 무선 공유기의 성능에 따라 범위가 정해지고 멀어질수록 신호가 약해진다. \- 사용자가
장거리 저전력 무선 플랫폼으로서 (한국에서) 92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기술.LoRa는 물리(Physical) 계층에 속하며 Semtech이 보유한 무선 통신 기술.LoRaWAN은 링크(Mac) 계층에 속하며 LoRa Alliance가 이를 규정하고
1994년 에릭슨이 최초로 개발한 디지털 통신 기기를 위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 산업 표준.2.4GHz 대역폭을 사용하는 Wi-Fi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한다.10m 정도의 근거리 범위에서 사용 가능하며 저전력을 강조한 통신이다.블루투스는 스펙트럼 확산방식을 사용하므
프로토콜 - 상호간에 정의한 규칙을 의미하며 특정 기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정의이다. 웹에서는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방식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HTTP 프로토콜은 상태가 없는 프로토콜이다.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각각의 요청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파일을 복사하기 위해 TCP/IP에 의해 제공되는 표준 기능.20번 포트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21번 포트는 명령과 응답 등의 제어정보를 위해 사용된다.인터넷을 통한 파일 송수신 만을 위해 고안된 서비스(또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동작
사물인터넷과 스마트홈의 개념 출범 이후 시장의 더딘 움직임.Why? 비싼 가격과 복잡한 사용 방법.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서로 다른 브랜드의 디바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해서 사용 및 관리하는 것이 어렵다. 제각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그러나 2019년 12월에 CH
폴링과 인터럽트는 CPU와 I/O 장치 사이의 통신이다.이벤트를 수행하라는 신호를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면서 그 신호를 받았을 때 이벤트를 실행하는 방식특정 주기마다 스레드를 돌면서 시그널이 들어왔는지 확인하는 방식소프트웨어적으로 시그널을 확인하는 것
머신 대 머신 통신에 사용되는 표준 기반 메시징 프로토콜 또는 규칙 세트이다. 스마트 센서, 웨어러블 및 기타 IoT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리소스 제약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한된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해야 한다.이러한 IoT 디바이스는 MQTT를 데이터
REST 방식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방식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HTTP URL을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
대칭키와 비대칭키는 양방향 암호화 통신.Hash를 사용한 단방향 암호화 방식과는 다르게 암호화된 암호문을 복호화할 수 있는 알고리즘.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들의 실체는 대체로 파일형태로 되어있고 열어보면 암호화된 값이 있다.어떤 정보를 암호화•복호화할 때 사용하는
이산 로그 기반 공개키 분배 메커니즘이며, 암호화 메커니즘이 아니다.y = g^x mod p일때 g와 x와 p를 안다면 y는 구하기 쉽지만, g와 y와 p를 알땐 x를 구하기는 어렵다는 방식에 착안두 명의 사용자가 메시지 암호화에 사용될 비밀키를 안전하게 교환하는 것을
타원곡선 암호(ECC)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중 하나로 데이터 암호화, 디지털 인증 등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암호방식이다. RSA 암호방식과 달리 이산로그 문제에 착안해 만들어졌다.RSA는 암호키 길이가 길어지면 보안 강도는 높아지지만 속도가 느려진다.하지만 ECC를
SSL이란 보안 소켓 계층을 이르는 것으로,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이며 데이터 보안을 위해서 개발한 통신 레이어이다.SSL은 표현계층의 프로토콜로 응용계층 아래에 있기 때문에, 어떤 응용계층의 데이터라도 암호화해서 보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기술 표준이다. 다른 네트워킹 프로토콜과 마찬가지로 컴퓨터와 서버는 SMTP를 이용하여 기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와 관계없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전자 메일을 보내는 클라이언트와 메일 서버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며, 전송되는 메일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의 약자.호스트의 IP 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동적으로 할당한다.네트워크 안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네임 서버 주소, IP 주소, 게이트웨이
통신에는 여러 개의 채널을 이용해 여러 비트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전송하는 병렬 통신과, 하나의 채널을 이용해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직렬 통신이 있다.병렬 통신은 근거리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유리하고, 직렬 통신은 병렬 통신과 비교해 상대적으
2개의 선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하나의 마스터와 여러 개의 슬레이브 기기가 물려 통신이 가능클럭 신호를 사용하는 동기식 통신 방식이라 시간에 자유로움슬레이브 선택을 위해 항상 주소 데이터가 붙기에 긴 데이터를 전송하기엔 부적합IC 사이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양방향 2와이
플로팅을 직역하면 떠있다는 뜻이다.위 그림을 통해 플로팅 현상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스위치가 연결되면 전류가 정상적으로 흐르게 된다.근데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는지 안 흐르는지 알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이 플로팅 현상이다.플로팅 현상이 생기는 이
쉽게 말해 디지털 신호로 아날로그 신호를 흉내내는 것.디지털 신호: 0과 1만 존재한다. 중간 값이 존재할 수 없다.아날로그 신호: 곡선의 연속된 형태의 신호디지털 신호의 0과 1의 비율을 조절하여 아날로그 신호처럼 만드는 것이 PWM이다.형광등은 60Hz로 깜빡거리고
노드 간 흐르는 전기 신호를 정형화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비. Physical Layer에서 동작하며, 상위 계층의 MAC address나 IP address를 처리하지 못한다.즉, 단순히 전기적 신호만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먼
CPU의 핵심 기능을 통합한 집적 회로(IC).프로그램 가능한 다목적 실리콘 칩으로서, 클럭 구동 방식/레지스터 기반, 이진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들이고 메모리에 저장된 지침에 따라 처리한 후 출력을 제공한다.프로세서는 기본적으로 ALU, ControlUnit 및 Re
1\. STM32 시리즈ARM Cortex-M 코어를 기반으로 한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시리즈로, 다양한 모델과 기능을 제공.STM32F, STM32L, STM32H 등 다양한 시리즈가 있으며, 저전력부터 고성능 응용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2\. STM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