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base_데이터 취업스쿨_스터디노트] 37. 데이터나누기1 (Decision tree 를 이용한 iris 분류 - 과적합)

김소희·2024년 1월 22일
0

study_note

목록 보기
38/50
post-thumbnail

과적합

지도학습에 대한 전체적인 프로세스 이다.

먼저 사이킷런으로 이전에 불러온 데이터를 학습시켜보는 과정을 해보겠다.

Scikit Learn

from sklearn.tree import DecisionTreeClassifier

iris_tree = DecisionTreeClassifier()

iris.data

array([[5.1, 3.5, 1.4, 0.2],
[4.9, 3. , 1.4, 0.2],
[4.7, 3.2, 1.3, 0.2],
[4.6, 3.1, 1.5, 0.2],
[5. , 3.6, 1.4, 0.2],
[5.4, 3.9, 1.7, 0.4],
[4.6, 3.4, 1.4, 0.3],
[5. , 3.4, 1.5, 0.2],
[4.4, 2.9, 1.4, 0.2],
[4.9, 3.1, 1.5, 0.1],
[5.4, 3.7, 1.5, 0.2],
[4.8, 3.4, 1.6, 0.2],
[4.8, 3. , 1.4, 0.1],
[4.3, 3. , 1.1, 0.1],
[5.8, 4. , 1.2, 0.2],
[5.7, 4.4, 1.5, 0.4],
[5.4, 3.9, 1.3, 0.4],
[5.1, 3.5, 1.4, 0.3],
[5.7, 3.8, 1.7, 0.3],
[5.1, 3.8, 1.5, 0.3],
[5.4, 3.4, 1.7, 0.2],
[5.1, 3.7, 1.5, 0.4],
[4.6, 3.6, 1. , 0.2],
[5.1, 3.3, 1.7, 0.5],
[4.8, 3.4, 1.9, 0.2],
[5. , 3. , 1.6, 0.2],
[5. , 3.4, 1.6, 0.4],
[5.2, 3.5, 1.5, 0.2],
[5.2, 3.4, 1.4, 0.2],
[4.7, 3.2, 1.6, 0.2],
[4.8, 3.1, 1.6, 0.2],
[5.4, 3.4, 1.5, 0.4],
[5.2, 4.1, 1.5, 0.1],
[5.5, 4.2, 1.4, 0.2],
[4.9, 3.1, 1.5, 0.2],
[5. , 3.2, 1.2, 0.2],
[5.5, 3.5, 1.3, 0.2],
[4.9, 3.6, 1.4, 0.1],
[4.4, 3. , 1.3, 0.2],
[5.1, 3.4, 1.5, 0.2],
[5. , 3.5, 1.3, 0.3],
[4.5, 2.3, 1.3, 0.3],
[4.4, 3.2, 1.3, 0.2],
[5. , 3.5, 1.6, 0.6],
[5.1, 3.8, 1.9, 0.4],
[4.8, 3. , 1.4, 0.3],
[5.1, 3.8, 1.6, 0.2],
[4.6, 3.2, 1.4, 0.2],
[5.3, 3.7, 1.5, 0.2],
[5. , 3.3, 1.4, 0.2],
[7. , 3.2, 4.7, 1.4],
[6.4, 3.2, 4.5, 1.5],
[6.9, 3.1, 4.9, 1.5],
[5.5, 2.3, 4. , 1.3],
[6.5, 2.8, 4.6, 1.5],
[5.7, 2.8, 4.5, 1.3],
[6.3, 3.3, 4.7, 1.6],
[4.9, 2.4, 3.3, 1. ],
[6.6, 2.9, 4.6, 1.3],
[5.2, 2.7, 3.9, 1.4],
[5. , 2. , 3.5, 1. ],
[5.9, 3. , 4.2, 1.5],
[6. , 2.2, 4. , 1. ],
[6.1, 2.9, 4.7, 1.4],
[5.6, 2.9, 3.6, 1.3],
[6.7, 3.1, 4.4, 1.4],
[5.6, 3. , 4.5, 1.5],
[5.8, 2.7, 4.1, 1. ],
[6.2, 2.2, 4.5, 1.5],
[5.6, 2.5, 3.9, 1.1],
[5.9, 3.2, 4.8, 1.8],
[6.1, 2.8, 4. , 1.3],
[6.3, 2.5, 4.9, 1.5],
[6.1, 2.8, 4.7, 1.2],
[6.4, 2.9, 4.3, 1.3],
[6.6, 3. , 4.4, 1.4],
[6.8, 2.8, 4.8, 1.4],
[6.7, 3. , 5. , 1.7],
[6. , 2.9, 4.5, 1.5],
[5.7, 2.6, 3.5, 1. ],
[5.5, 2.4, 3.8, 1.1],
[5.5, 2.4, 3.7, 1. ],
[5.8, 2.7, 3.9, 1.2],
[6. , 2.7, 5.1, 1.6],
[5.4, 3. , 4.5, 1.5],
[6. , 3.4, 4.5, 1.6],
[6.7, 3.1, 4.7, 1.5],
[6.3, 2.3, 4.4, 1.3],
[5.6, 3. , 4.1, 1.3],
[5.5, 2.5, 4. , 1.3],
[5.5, 2.6, 4.4, 1.2],
[6.1, 3. , 4.6, 1.4],
[5.8, 2.6, 4. , 1.2],
[5. , 2.3, 3.3, 1. ],
[5.6, 2.7, 4.2, 1.3],
[5.7, 3. , 4.2, 1.2],
[5.7, 2.9, 4.2, 1.3],
[6.2, 2.9, 4.3, 1.3],
[5.1, 2.5, 3. , 1.1],
[5.7, 2.8, 4.1, 1.3],
[6.3, 3.3, 6. , 2.5],
[5.8, 2.7, 5.1, 1.9],
[7.1, 3. , 5.9, 2.1],
[6.3, 2.9, 5.6, 1.8],
[6.5, 3. , 5.8, 2.2],
[7.6, 3. , 6.6, 2.1],
[4.9, 2.5, 4.5, 1.7],
[7.3, 2.9, 6.3, 1.8],
[6.7, 2.5, 5.8, 1.8],
[7.2, 3.6, 6.1, 2.5],
[6.5, 3.2, 5.1, 2. ],
[6.4, 2.7, 5.3, 1.9],
[6.8, 3. , 5.5, 2.1],
[5.7, 2.5, 5. , 2. ],
[5.8, 2.8, 5.1, 2.4],
[6.4, 3.2, 5.3, 2.3],
[6.5, 3. , 5.5, 1.8],
[7.7, 3.8, 6.7, 2.2],
[7.7, 2.6, 6.9, 2.3],
[6. , 2.2, 5. , 1.5],
[6.9, 3.2, 5.7, 2.3],
[5.6, 2.8, 4.9, 2. ],
[7.7, 2.8, 6.7, 2. ],
[6.3, 2.7, 4.9, 1.8],
[6.7, 3.3, 5.7, 2.1],
[7.2, 3.2, 6. , 1.8],
[6.2, 2.8, 4.8, 1.8],
[6.1, 3. , 4.9, 1.8],
[6.4, 2.8, 5.6, 2.1],
[7.2, 3. , 5.8, 1.6],
[7.4, 2.8, 6.1, 1.9],
[7.9, 3.8, 6.4, 2. ],
[6.4, 2.8, 5.6, 2.2],
[6.3, 2.8, 5.1, 1.5],
[6.1, 2.6, 5.6, 1.4],
[7.7, 3. , 6.1, 2.3],
[6.3, 3.4, 5.6, 2.4],
[6.4, 3.1, 5.5, 1.8],
[6. , 3. , 4.8, 1.8],
[6.9, 3.1, 5.4, 2.1],
[6.7, 3.1, 5.6, 2.4],
[6.9, 3.1, 5.1, 2.3],
[5.8, 2.7, 5.1, 1.9],
[6.8, 3.2, 5.9, 2.3],
[6.7, 3.3, 5.7, 2.5],
[6.7, 3. , 5.2, 2.3],
[6.3, 2.5, 5. , 1.9],
[6.5, 3. , 5.2, 2. ],
[6.2, 3.4, 5.4, 2.3],
[5.9, 3. , 5.1, 1.8]])

  iris 의 데이터를 살펴보니 4가지의 피쳐를 확인 할 수 있다.
  
  
  
iris_tree.fit(iris.data[:,2:], iris.target ) # petal length, petal width

fit 함수는 데이터를 학습시켜주는 함수이다.
안에 순서대로 iris.data[:,2:] 는 전체 데이터의 모든 행과, 2번째 열부터 끝까지의 데이터를 학습시키고,
iris.target 의 값을 넣어 그것이 0,1,2 의 값들 인 것을 알려준다.

학습이 끝났다면 정확도를 측정한다.

from sklearn.metrics import accuracy_score # 정확도 측정

y_pred_tr = iris_tree.predict(iris.data[:, 2:]) # 예측
y_pred_tr

array([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이게 정답이 맞는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하나씩 비교해 보려면 시간이 꽤 오래걸릴거다.
   
accuracy_score(iris.target, y_pred_tr) # 정확도 측정

accuracy_score() 함수에 정답과 예측값을 순서대로 넣어 정확도를 측정한다.

0.9933333333333333

결과는 99프로의 확률로 정답을 맞추었다고 한다.
학습이 잘 된 것 같다.

그럼 이 학습한 모델은 어떤 모델인지 알아보자.

트리그리기

from sklearn.tree import plot_tree # 트리 그리기

plt.figure(figsize=(12,8))

plot_tree(iris_tree)

사이킷런에서 plot_tree 모듈을 불러오고 저 모듈안에 iris_tree 모델을 넣어주면
모델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준다.

보면 위에서부터 양자택일 형태로 아래로 트리를 뻗어나가며 값을 추리는 중이다.

2번째 줄에서 세토사는 완벽하게 분류를 해냈고 나머지 두가지의 종을 분류하려고 하는데

하나는 1개의 오류 하나는 5개의 오류가 바로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ip install mlxtend

mlxtend 를 설치해본다. sklearn에 없는 몇몇 유용한 기능을 다룰 수 있다.
이 함수를 통해 iris 품종을 분류하는 결정나무 모델이 어떻게 데이터를 분류했는지 확인해 볼거다.

from mlxtend.plotting import plot_decision_regions

plt.figure(figsize=(14,8))
plot_decision_regions(X= iris.data[:,2:], y=iris.target, clf = iris_tree, legend=2)
plt.show()       

5번이 꺾인 경계면..
그렇다면 아까 0.9933333333333333 의 accuracy 값을 믿을 수 있을까?

과적합이 되었다고 의심을 해볼 필요가 충분히 있다.
데이터 150개로 모든 iris 유형을 표현할 수 있을까?
더 다양한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을까?

일반적인 iris 데이터에서도 정말 좋은 성능이 나올까?
그래서 엔지니어들이 이것을 매우 조심해야한다. 일반화성능이 확보되려면 너무 내가 가진 데이터에만 적합해지면 안 된다.

주 의 하 자!
그렇다면 결국,, 데이터는 많을 수록 좋은 것 인가..!

profile
Analytics Engine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