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를 표현식
이라고 한다.
하나 이상의 표현식이 모이면 문장
이 된다.
자바스크립트가 처음 만들어질 때 정해놓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 단어를 키워드
라고 한다.
예를 들어, if, class, const, break ...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외워지니 억지로 외울 필요는 없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한다. 주로 변수명이나 함수명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SongRun10 라고 변수의 이름을 정할 때 그 이름을 식별자라고 한다.
식별자를 정할 때는 의미있는 단어가 좋다. (input, output)
식별자 규칙
-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 된다.
-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된다.
- 특수문자는 _와 $만 가능하다.
- 공백 문자를 포함할 수 없다.
클래스는의 이름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한다.
변수, 인스턴스, 함수, 메소드는 항상 소문자로 시작한다.
공부한 걸 확인하기 위해서는 출력을 이용하여야 한다.
출력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I love you (English)
- i.love(you) (Programming)
- love(you)
- console.log("Hello")
- 문자열 자료형 (String)
- 숫자 자료형 (Number)
- 불 자료형 (Boolean)
- undefined
- null
- object
- 문자열 연결 연산자 (+)
- 문자열 선택 연산자 (문자열[숫자])
- 문자열 길이 (문자열.length)
리터럴 방식: 따옴표 안에 문자를 넣는 방식을 의미한다.
String.prototype.indexOf()
: indexOf() 메서드는 호출한 String 객체에서 주어진 값과 일치하는 첫 번째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1을 반환합니다.
.slice(시작, 종료)
, ex) console.log(abc.slice(0,3);)
- 사칙연산
- 나머지 연산 (%)
원하는 자릿수까지 자르기 (Number 타입)
parseInt(식별자)
, parseFloat(식별자)
Math.abs()
: 절댓값으로 반환Math.min()
,Math.max()
:Math.ceil()
,Math.floor()
,Math.round()
: 올림, 내림, 반올림Math.random()
,Math.random() * 10
Math.floor(Math.random() * 10); // 10 이하의 정수
Math.floor(Math.random() * 100); // 100 이하의 정수
- 비교 연산자 (===, !==, <, >, <=, >=)
- 논리합 (||), 논리곱 (&&)
무슨 자료인지 확인하려면 typeof()
함수를 이용하면 된다.
상수를 선언할 때는 const
를 이용하며, 변수를 선언할 때 let
를 이용한다.
기본규칙으로는 변경할 가능성이 있으면 변수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수를 사용하면 된다.
상수는 쌓아서 저장한다고 생각하면 되며, 저장 효율이 좋다. 반면에 변수는 변수의 값을 수정이 가능하며 상수에 비해 저장 효율이 떨어진다.
> const pi = 3.14
undefined
> pi
3.14
a+=1
a-=1
a*=1
a/=1
a%=1
++a (전위 연산자)
a++ (후위 연산자)
크게 두 가지 나누자면, 입력과 변환이다.
입력
- 문자열 입력 prompt (Q , ~ )
- 불 입력 confirm ( Q )
변환
-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 Number()
- 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 String()
- 불 자료형으로 변환 Boolean()
const rawInput = prompt('inch 단위의 숫자를 입력해주세요.')
const inch = Number(rawInput)
const cm = inch * 2.54
alert(`${inch}inch는 ${cm}cm입니다.`)
null (빈 상자)
: 변수 상자에 '비어있다'는 값을 넣은 것이다. 값은 있다는 뜻이다.
undefined ()
: 값이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