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작성해본다.
S = list(str(input()))
print(S)
잘 나온다.
단순하게 생각해보자면 이 리스트의 인덱스를 반환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이때 S.index()를 사용하려 했는데 찾아보니 find()라는 함수도 있다 한다. index()와 기능은 같지만 없는 문자열이 나올 경우 -1을 반환한다고. 좋아 딱 맞다.
다만 리스트가 아니라 문자열함수이기 때문에
S = str(input())
alp = "abcdefghijklmnopqrstuvwxyz"
for i in alp:
print(S.find(i))
이렇게 했더니 글쎄
정신을 잃고 말았다.
S = str(input())
alp = "abcdefghijklmnopqrstuvwxyz"
for i in alp:
print(S.find(i), end=" ")
굿
S = str(input())
alp = "abcdefghijklmnopqrstuvwxyz"
for i in alp:
print(S.find(i), end=" ")
문제 하나하나를 풀 때마다 분명히 배웠지만 새로운 함수들이 등장한다. 파이썬은 참 효율적인 언어같다... 잡기를 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