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문자열 S와 테스트케이스를 입력 받는다.
Test = int(input())
S = str(input())
공백을 어떻게 구분해야할까, map을 이용해서 항상 그래왔듯 리스트로 넣고 이프를 통해 공백을 구분해야할까 고민했는데 친구가 아주 좋은 함수를 알려주었다.
split()
문자열을 입력할 때 기준을 통해 입력값을 구분해주는 함수라고 한다. 맨날 C언어만 하다가...파이썬을 하니 참 신문물에 놀라는 사람이 될 뿐이다.
testCnt = int(input())
inputS = input().split(' ')
R = inputS[0]
S = inputS[1]
문자열은 리스트로 하나씩 분리해줘야할 것 같아서 map함수를 쓴다.
testCnt = int(input())
inputS = input().split(' ')
R = inputS[0]
S = list(map(str, inputS[1]))
for i in range(0, testCnt):
pass
풀다가 뭔가 이상함을 느꼈다. 테스트로 아무거나 출력하는데 결과가 이상해!
testCnt = int(input())
for i in range(0, testCnt):
inputS = input().split(' ')
R = inputS[0]
S = list(map(str, inputS[1]))
for j in range(0, len(inputS[1])):
print(S[j])
이제 반복을 추가해준다.
testCnt = int(input())
for i in range(0, testCnt):
inputS = input().split(' ')
R = int(inputS[0])
S = list(map(str, inputS[1]))
for j in range(0, len(inputS[1])):
print(S[j]*R, end="")
디용 무슨일이지
아예 똑같이 해야하나 싶어 줄바꿈도 추가해준다.
testCnt = int(input())
for i in range(0, testCnt):
inputS = input().split(' ')
R = int(inputS[0])
S = list(map(str, inputS[1]))
for j in range(0, len(inputS[1])):
print(S[j]*R, end='')
print()
이건 친구 덕분에 풀 수 있었던 문제다. 역시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