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밸런서는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load)를 분산(=balancing)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통칭합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풀(Server Pool,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버들의 그룹) 사이에 위치하며, 한 대의 서버로 부하가 집중되지 않도록 트래픽을 관리해
Transaction은 이미 블로깅 해놨으니 바로 격리수준으로 넘어가보자!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이란?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이 처리될 때, 특정 트랜잭션이 다른 트랜잭션에서 변경하거나 조회하는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허용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격리 수준은 다음과 같이
🤔 프록시(Proxy)란? 사전적 의미: 대신, 대리이다. 말 그대로 두 PC가 통신을 할 때 직접 하지 않고 중간에서 대리로 통신하는 것을 '프록시'라고 하고, 중계 역활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 라고 부른다.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중계서버'라고 생각
IP(Internet Protocol)이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IP주소는 IPv4,IPv6 2가지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IP 주소라 하면 IPv4 주소를
스택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도록 제한된 선형으로 나열된 자료구조이다. 쉽게 비유하자면 비어있는 '프링글스 통'을 생각하면된다. 과자를 먹을 때, 맨 위에 있는 과자부터 먹을 수 있고, 새로 과자를 추가한다면 먼저 들어간 과자보다 위에 쌓이는 형태일
isalpha() 문자열에 공백, 기호, 숫자가 있을시 False를 리턴한다.isdisit() 문자열에 공백, 기호, 숫자가 있을시 False를 리턴한다.
print() 문에서 사용한다.\\n : 줄바꿈\\t : 탭\\\\ : 역슬래시 출력\\" , \\' : 따옴표, 작은 따옴표 출력\\b : 백 스페이스, 바로 앞 문자가 지워진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IT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On-Demand)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다.클라우드를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분석, 인텔리전스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클라우딩 컴퓨팅을 사용
HTTP 메소드는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사용자 요청의 목적이나 종류를 알리는 수단이다. 최초의 HTTP에서는 GET 메소드 하나밖에 없었지만 이후 다야항 메소드들이 생겨났다.HTTP 메소드의 종류는 총 9가지가 있다. 이 중 주로 쓰이는 메소드는 5가지가 있다. 이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데이터와 기능의 집합을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서로 정보를 교환가능 하도록 하는 것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최근 OpenAPI(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즉, 자원(resource)의 표현 (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 전달자원: 해당 소프트웨어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한다.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병행 제어 및 회복 작업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이다.
🤔 HTTP? HTTP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의(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입니다.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 통신을 주고받게 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프로토콜입니다. ⭐️ HTTP 프로토콜 특징 HTTP 프로토콜은 상태가 없는
🤔 Typing이란? 프로그램 내에서 변수의 데이터 타입(자료형: data type)을 정의하는 것으로 데이터 타입은 정적(static) 과 동적(dynamic) 타입으로 분류된다.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미리 선언한 후, 프로그램 컴파일 시에 타입을 체크하는 C
RDBMS 중 오라클 다음으로 많이 언급되는 PostgreSQL을 한번 설치하고 사용해보자! 📀 PostgreSQL 설치 및 확인! 설치 실행 확인 DB에 접속 해 보자! PostgreSQl은 설치시 자동으로 계정을 생성해준다고 합니다! 확인해 볼까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자료의 검색과 관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과 수정, 데이터베이스 객체 접근 조정 관리를 위해 고안되었다. 많은 수의
💾 DBMS란?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의 집합'이라고 정의한다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DBMS(Dataase Management System)라고 합니다.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명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과 공유하
스키마(Schema)란? 컴퓨터 과학에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 데이터의 구조,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