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깊은 내용 나열)
- (여기서 "인상깊다"의 의미 : 동의/비동의 의 정도가 크다)
문제 정의 및 가설 수립 -> 분석(스킬) -> 결과 해석 및 스토리 구축
( 대충 스킬적인 부분에 집중하지 말고 문제 정의/가설 수립과 결과 해석/스토리 구축이 포인트라는 내용 )
- 정확한 문제 정의가 포인트인게 맞다.
- 복잡한 문제도 단순한 문제(의 합)으로 재구성해서 쉬운 문제를 풀도록 정의를 내리는게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포인트이다.
- 그러나 여기서 끝나서는 안된다. 문제 정의를 제대로 하기 위해선 정상/비정상을 구분하는 "기준"을 "잘" 잡는게 포인트이다.
- 결과 해석은 나에게도 어려운 영역이다. 때로는 결과가 모호하게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모호한 결과가 분석이 잘못되서라기 보다는 진짜로 모호한 결과일수도 있지 않은가?
- 다만 결과 해석에서 스토리 라인이 중요한 이유는 다른 사람에게 설득/전파하기 유용한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그 스토리가 진짜가 아닐수도 있다. 그러나 스토리와 함께 분석 결과가 공유된다면 청중에게 강력하게 전달된다.
데이터 작업 전에 애당초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생각해보고 데이터 작업을 시작한다.
- 사실 당연한 말이긴 한데 (그리고 당연히 데이터/도표는 의도적으로 삽입되지 않나?), 때로는 맞기도/틀리기도 한 말이라고 생각한다.
- 데이터 분석가는 답정너이기 쉽다. 내 뇌피셜과 실제 데이터가 다를수도 있다.
- 의도적으로 내 뇌피셜을 주장하기 위해 입맛에 맞는 데이터만 추리는게 정말 쉽기 때문이다.
( 든 생각 :
- 그리고 저자가 제시하는 잘못된 분석의 사례들을 보면 전형적인 타의적인 데이터 분석이다.
- 자의적인 데이터 분석을 한다면 표/그래프만 나열해놓고 분석했다고 말하지 않는다.
- 오히려 이런 잘못된 분석 결과를 가져왔다면, 내가 일을 지시한 사람이라면 이 사람이 왜 이렇게밖에 할 수 없었을까?를 생각해봐야하지 않을까?
- 한편 과거의 나도 표 안에 복잡한 선들이 잔뜩 들어있곤 했는데, 사실 내가 이렇게 여러가지 옵션들을 고려했다고 "자랑"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 정확히는 분석의 결과 공유 방법이 잘못된 것이다.
- 이러한 공유가 잘못됐음을 시행착오를 통해 깨닫고나서야 다시는 이런 짓을 하지 않게 됐다.
)
풀고자하는 문제가 명확하지 않다.
- ~~이런걸 분석해줘. 라고 했을때 난감할때가 있다.
- 분석을 요청하는 사람이 본인이 뭘 원하는지 모를때가 있다.
- 그럴수도 있다. 노하우가 많은 분석가라면 찰떡같이 알아들어야지.
- 그런데 그 전에 정확한 "문제 상황"이 무엇인지 정의조차 안되어 있다면 심각하다.
문제 주제와 관련되어 있는 데이터를 긁어 모은 다음, 시각화하며 살펴보다 어쩌다 발견한 내용을 긁어 모아서 분석 결과로 마무리된다.
- 만약 어떤 분석가가 이런 결과를 내놓았다면, 난 안타까울 것 같다.
- 그 분석가도 어떤 가설을 수립하면서 분석을 진행해봤지만 모든 가설에 부합하는 데이터적 패턴을 찾지 못했을 것이고, 차마 빈손으로 분석 결과를 낼 수 없었던 분석가는 이것저것 데이터를 기워서 결과 분석으로 제출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 한편으로 무지성 EDA 를 진행하는 식의 데이터 분석이 존재할 수 있나?라는 나 스스로의 편견이 있다.
- 분석 경진대회의 결과 공유 코드를 보면 항상 EDA 라는걸 형식적으로, 마치 알록달록 예쁘게 장식용으로만 존재하지 EDA 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서 분석으로까지 이어진 결과를 잘 못본 것 같다. 사실 한번도 본적이 없는 것 같다.
- 오히려 분석가 주관에 의한 가설을 수립 후 가설이 맞는지 시각화를 통해 증명/설득하는 사례는 수차례 본 것 같다.
- 그러나 이러한 가설 수립 -> 분석은 너무 너무 어렵다. 데이터를 봤을때 "노하우/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있어야만 ~~한 패턴이 있겠지? 라는 가설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타 팀/회사의 ~~한 문제가 있다고 했을때 원인/문제를 분리하여 본다.
- 원인과 문제가 뒤섞여있으면 문제 정의가 어렵기 때문이다.
- 그리고 전달받은 원인이 진짜 원인이 아닐수도 있다는 식으로 비판적 듣기?는 좋은 아이디어다.
- 다른 사람이 정의한 문제에 대해, 보자마자 이렇게 생각해본다는 접근을 해본적이 없어서 신선하다.
- 사실 본격적으로 분석을 진행하면 자연스레 이렇게 쪼개보겠지만, 구두로 전달받는 순간에 이렇게 원인/문제를 분리하여, 나아가서 비판적으로 듣는다는걸 생각해보지 못했다.
여러 잘못된 시각화 사례
- 내 생각에는 모든 시각화에서 "그래서 어떤게/왜 문제인데?" 라는 질문이 나온다.
- 자료만 보고도 아 이게 문제네! 라고 (직관적으로) 해석될 수 있게 만들어야겠다고 생각이 든다.
이후 언급되는 여러 문제 상황(결론)과 이를 모니터링할 지표들을 언급한다.
- 대체로 문제 상황(결론)이 진짜 문제가 맞는지? 비판적 사고를 해야한다.는걸 강조하는 것 같다.
- 그리고 이를 지표화 했을때 적절한가? 인데, 이를 보다보니 굉장히 세분화된 여러개의 지표가 필요하다.는 결과로 이어질 것 같다.
- 저자가 설명하는 대로라면 문제 상황을 정확히 명시 -> 이를 표현하는 적절한 지표 생성인데, 문제 상황이란건 매번 새롭게 등장하기 마련이고 그때마다 적절한 지표를 추가해야되는건가? 라는 생각이 든다.
- 지표는 관리가 가능한 한도 내에서 많을수록/다양할수록 좋은건 맞다.
- 그런데 관리가 가능한 한도라 어느정도일까?
- 담당자별로 확인해야하는 지표 수가 10개가 넘어가면 이미 관리가 불가능한 수 아닐까?
- 따라서 지표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 집중이 필요한 지표라 함은,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모니터링이 꼭 필요한, 불변하게 중요도가 높은 지표일 것이다. 중요도가 높기 때문에 담당자가 스스로 찾아봐야 할 것이다.
- 시기별로 중요한 지표가 달라질 것이다. 이때는 현 시점에서 집중 관리하는 지표 3개, 꾸준히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표 5개면 되지 않을까?
- 사업의 현 상황을 5개 지표로 표현해야 한다면 어쩔수없이 추상적이고 여러 의미/원인으로 해석될 수 있는 포괄적인 지표가 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 든 생각 :
- 지표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다고 할떄, 이 서비스는 상당히 수동적인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직접 지표를 확인하기 위해 찾아와야 하기 때문이다.
- 그런데 사용자(직원)는 사실 일을 그리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다.
- 그래서 실컷 만들어놓고 방치되는 지표들이 존재하는걸 보게된다.
- 지표에 이상신호가 발생한다면 이용자에게 강력한 알림을 주는 기능이 있으면 게으른 직원들 또한 문제를 보도록 할 수 있겠다.
- 그러면 이 서비스는 보다 적극적이게 된다.
- 그런데 여기엔 적절한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규칙/모델이 필요한 단점이 있고, 이러한 규칙/모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탐/정탐 수준을 관리한다는 관리 요소가 존재한다.
- 그러면 또 이를 탐지하는 이상신호 탐지의 이상 신호 탐지 규칙이 필요할 것이다.
)
사실과 결과를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것 vs 내용을 평가해서 구체적인 행동과 판단을 연결하는 것
- 숫자는 숫자 그 자체로는 어떤 맥락을 담지 못한다.
- 따라서 전년도/전분기와 같이 비교 대상이 있을때 비로소 맥락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분석 패턴 : 평균과 표준편차
- 단순히 평균만 봐버리면 추세를 확인할 수 없다.
- 단순히 편차를 봐버리면 직관적으로 생각한 변동성과 편차 수치는 다를 수 있다. ( 단조 증가 직선의 표준편차는 기울기 크면 클수록 표준편차가 크다. )
이후 나오는 내용들은 특별히 새롭진 않다.
- 결과 보다는 결론을
- 결과 보다는 Action Plan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