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는 배열이 필요하다.
배열을 봉다리이다.
모르는 건 Cheat Sheet 로 검색
<script>
function night(){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backgroundColor = 'black';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color = 'white';
let as = document.querySelectorAll('a');
for(let i=0; i<as.length; i++){
as[i].style.color = 'white';
}
}
function day(){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backgroundColor = 'white';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color = 'black';
let as = document.querySelectorAll('a');
for(let i=0; i<as.length; i++){
as[i].style.color = 'black';
}
}
</script>
반복문 함수를 이용한 페이지 글자색 변경 코드
function night(){}
함수 night는() {내용+반복문}
let as = document.querySelectorAll('a');
for(let i=0; i<as.length; i++){
as[i].style.color = 'white';}
선언한다 as = 모든 'a' 선택
반복해(선언 i=0; as.lenght보다 i가 작을 때까지; i=i=1){
모든 'a' 스타일 컬러를 흰색으로}
버튼 모두 누르기
버튼이 굉장히 많은 페이지에서 자바스크립트로 버튼이 눌려지게 코드를 작성했다. 마지막 아래 코드가 정상 작동한 코드이다.
100 초과 버튼 누르기
범위가 있는 버튼 누르기
let inputs = documentquerySelectorAll('input');
for(let i=0; i<inputs.length; i=i+1){
if(inputs[i].value>100){
if(inputs[i].value<200){inputs[i].click();}}
let inputs = documentquerySelectorAll('input');
for(let i=0; i<inputs.length; i=i+1){
if(inputs[i].value>100 && inputs[i].value<200){
{inputs[i].click();}}
Console.log에서 Enter를 누르면 실행이 되는데, 줄바꾸기를 원하면 Shift+Enter을 누르면 된다
함수는 정리정돈하는 코드
크롬에 내장된 함수 ➪ 내장함수(Built in function)
함수는 서로 연관된 코드를 그룹핑해서 이름을 붙인 것.
함수가 좋은 이유?
함수를 정의 할 때
<h1>Function</h1>
<script>
function abc(){
console.log('a');
console.log('b');
console.log('c');
}
console.log(1);
console.log(2);
abc();
console.log(4);
abc();
console.log(5);
abc();
console.log(6);
console.log(7);
console.log(8);
</script>
함수를 이용해서 abc의 실행값이 명확하게 표현된다.
호출되는 코드와 사용하는 코드.
function 이름(){} 작성,
실행 내용은 함수의 실행값 위치인 {}에 삽입한다.
부가가치세
<h1>VAT</h1>
<script>
function 부가세계산(){
let 가격 = 1000;
let 부가세율 = 0.1;
let 부가세 = 가격 * 부가세율;
console.log(부가세);
}
부가세계산();
</script>
이 코드에는 아쉬운게 있음
-> 항상 결과가 100이다.
왜? 가격이 1000으로 박혀있으니까!
-> 입력값()을 만든다
계산하는 값 만들기
function a(){
return 1;
}
a()
< 1
함수를 실행했을 때 나오는
함수의 값은 return 뒤에 오는 값.
<script>
function 부가세계산(가격, 부가세율){ //매개변수, parameter
let 부가세 = 가격 * 부가세율;
return 부가세;
}
부가세계산(2000, 0.1); //인자, arugment = 입력값
</script>
return
<h1>SUM</h1>
<script>
function sum(val1, val2){
return val1+val2; //리턴값 뒤에 있는 값이 함수를 실행한 값이 된다.
}
alert(sum(100,200)*10)
</script>
sum이라는 함수가 있고, 조건에는 val1, val2가 있다.
val1과 val2의 값은 실행한다. return val1+val2로!
그래서 sum함수를 작성하면 val1+val2의 값이 계산된다.
결국 return은 함수를 실행시켰을 때 나오는 값을 말한다.
또한 return은 함수의 종료 조건이다.
추가: +와 ${}
<h1>Arry + Loop</h1>
<script>
topics = ['html','css', 'js'];
for(let i=0; i<topics.length; i=i+1){
document.write('<li>'+topics[i]+'</li>');
}
</script>
<script>
let topics2 = ['html', 'css','js']
for(let i=0; i<topics2.length ; i = i+1){
document.write(`<li>${topics[i]}</li>`);
}
배열은 인덱스로 식별되는 객체
객체는 순서없이 이름을 쓸 때.
-> 객체지향은 서로 연관된 변수와 함수를 그룹핑해서 이름을 붙인 것
<h1>Object</h1>
<script>
let student = ['egoing', 'guru']
console.log(student[0], student[1]);
let member = {developer: 'egoing', desinger:'duru'};
console.log(member.developer, member.desinger);
let person = {name:'egoing', city:'seoul', job:'developer'};
console.log(person.name, person.city, person.job);
let MyMath = {}
MyMath.PI = 3.14;
MyMath.sum = function(val1, val2){
return val1+val2;
}
console.log(MyMath.PI);
console.log(MyMath(10,20));
</script>
✏️ 어떻게 해결을 했는가?
3. 강의 녹화본을 다시 봄
1,2,4. Velog 작성 후 연습하기
✏️ 이렇게 이해를 했다
3. return은 함수를 실행한 값이다. 말 그대로 함수를 실행했을 때 나오는 값!
✏️ 어디까지 이해했지?
달러 기호 두개와 . 이 같은 의미이다.
함수는 정리정돈하는 코드
함수를 작성하는 방법과 실행하는 방법
객체지향 의미
함수와 반복문을 활용한 코드 제작.
객체지향을 활용한 코드 제작.
html을 활용한 복습 시간.
오늘은 return에 대한 개념이해가 어려웠다. 자주 쓰이지 않는 단어를 접하다보니 이해가 되지 않았다. 다시 강의를 들어보니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고 생각보다 별 게 아니였다.. 복습 시간을 가지면서 각 기호가 언제 사용되는지 알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해당 부분에 대한 학습이 필요해보인다. 또한 함수와 객체지향, 배열이 코드를 정리정돈해서 깔끔하다는 생각을 한다. 잘 활용해서 깔끔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