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클래스
클래스는 무조건 작게. 작은 기준은 책임이 적을수록! 클래스의 이름짓기 애매하다면 역할이 많을 가능성이 높다.
7. 오류 처리
예외 사항을 잘 처리한 코드는 유지보수에 좋고, 코드는 깨끗해진다. 무엇보다 소프트웨어 안정성이 증가한다.
6. 객체와 자료구조
자료와 객체는 서로 대척점에 있다고 보면 되나. 이 챕터는 나중에 다시 읽어야겠다.
5. 형식 맞추기
코드를 작성하는 형식에 대해서 다룬 챕터. 어디에 공백, 빈 행을 넣을 지, 한 파일 내에서 각 요소들은 어떻게 배치할 지를 다룬다.
3. 함수
어떤 프로그램이든 지금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함수. 읽기 쉽게 중복이 없는, 명확하고 짧은 함수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Test Code에 대해서
테스트 코드란 "내가 짠 코드가 맞게 짠 코드가 맞을까?","코드를 수정했는데 같은 기능으로 구현되는가?"에 대한 검증을 하는 수단.
2. 의미 있는 이름
변수에도, 함수에도, 인수, 클래스, 패키지, 디렉토리까지 다 이름이 붙는다. 이름을 잘 지으면 여러모로 편리하다.
1. 깨끗한 코드
코드는 요구사항을 상세히 표현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유지보수에 용이하게, 읽기 좋고 우아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0. 추천사
God is in the Details. - 미스 반 데 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