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2일 (목) 네트워크 기초

남이섬·2021년 9월 2일
0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2-Tier아키텍처)

리소스가 존재하는 곳(서버)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클라이언트)을 분리시킨 것

서버 - 리소스를 전달해주는 역할
데이터베이스 - 리소스를 저장하는 공간

3-Tier아키텍처
데이터베이스가 추가된 형태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보통 플랫폼에서 따라 구분된다.
프라우저를 통해 주로 이용하는 웹(Web) 플렛폼에서 클라이언트는 웹사이트 또는 웹 앱이라고 부른다

ex) iOS, 안드로이드와 같은 스마트폰/태블릿 플랫폼, 윈도우와 같은 데이스탑 플랫폼에서 이용하는 앱

서버

무엇을 하느냐에 따라 종류가 달라지며, 파일 서버는 파일을 제공하는 앱, 웹 서버는 웹사이트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들을 제공하는 앱, 메일서버는 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앱

데이터베이스도 데이터 제공자로서 일하므로 서버라고 볼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통신과 API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은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된다
요청이 있어야만 응답이 온다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는 서버마음대로 클라이언트에 리소스를 전달하지 않다, 다만 예외적인 부분으로 서버에서 일방적으로 클라이언트에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토콜(Protocol) - 통신규약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HTTP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해 서로 대화를 나눈다
HTTP를 이용해 주고받는 메시지는 HTTP메세지라고 한다

주요 프로토콜

OSI 7 Layers
응용계층

HTTP - 웹에서 HTML, JSON 등의 정보를 주고받는 프로토콜
HTTPS -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SMTP -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SSH - CLI 환경의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RDP - Windows 계열의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WebSocket - 실시간 통신, Push 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전송계층

TCP - HTTP, FTP 통신의 등의 근간이 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UDP - (양방향의 TCP와는 다르게) 단방향으로 작동하는 훨씬 더 단순하고 빠르지만, 신뢰성이 낮은 인터넷 프로토콜

OSI 7 Layers - 해당 프로토콜이 어떤 계층(layer)에 속해 있는지 표시하고 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리소스를 잘 활용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를 API라 한다

서버는 리소스를 전달을 하기위한 메뉴판과 같고, API 문서를 작성해야 클라이언트가 이를 활용 할 수 있다
인터넷에 있는 데이터를 요청할 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주소(URL, URI)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메소드

URL과 URI

URL

서버가 제공되는 환경에 존재하는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다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줄임말로, 네트워크상에서 윂페이지, 이미지, 동영상들의 파일이 위치한 정보를 나타낸다

URL은 scheme, hosts, url-path로 구분할 수 있다
scheme - 통신 방식(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일반적인 브라우저에서는 http(s)를 사용한다.
hosts - 웹 서버의 이름이나 도메인, IP를 사용하며 주소를 나타낸다
url-path - 웹서버에서 지정한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위치 경로와 파일명을 나타낸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줄임말로, 일반적으로 URL의 기본요소인 scheme, hosts, url-path에 더해 query, boolmark를 포함한다

query - 웹 서버에 보내는 추가적인 질문
ex) http://www.google.com:80/search?q=JavaScript 를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하면, 구글에서 JavaScript를 검색한 결과가 나타난다,
맥어플리케이션 Alfred에 주소 지정할때

브라우저 검색창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주소가 URI이다
URI는 URL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이다


127.0.0.1 은 로컬 PC
port는 서버로 진입할 수 있는 통로

IP와 포트

I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PC의 주소를 나타내느 체계를 IP adress(Internet Protocol adress) IP주소라고 한다.

포트는 IP주소로 집입할 수 있는 정해진 통로

IP (Internet Protocal)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주소체계를 의미 한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PC는 IP주소 체계를 따라 네 덩어리의 숫자로 구분된다
네덩이의 숫자로 구분된 IP주소 체계를 IPv4 라고한다

IPv4(Internet Protocal version 4)

IP 주소체계의 네번째 버전을 뜻 한다
IPv4는 각 덩어리 마다 (0부터 255)까지 나타낼 수 있다(2의 32승, 약 43억개의 IP 주소를 표현 할 수 있다)

nslookup명령어로 터미널에서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 localhost, 127.0.0.1 - 현재 사용 중인 로컬 PC를 지칭한다

  • 0.0.0.0, 255.255.255.255 : broadcast address,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장치와 소통하는 주소입니다. 서버에서 접근 가능 IP 주소를 broadcast address 로 지정하면, 모든 기기에서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IPv6(IP version 6), 2의 128승(개)의 IP주소를 표현할 수 있다

PORT

로컬 PC의 IP주소인 <127.0.0.1> 뒤에<:3000>과 같은 숫자가 표현되는데, IP주소가 가리키는 PC에 접속할 수 있는 통로(채널)을 의미한다

이미 사용 중인 포트는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다
포트 번호는 0~ 65,535 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0 ~ 1024번 까지의 포트 번호는 주요 통신을 위한 규약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다

반드시 알아야 할 잘 알려진 포트 번호

22 : SSH
80 : HTTP
443: HTTPS

이미 정해진 포트 번호라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잘 알려진 포트의 경우 URI 등에 명시하지 않지만, 그 외의 잘 알려지지 않은 포트(:3000과 같은 임시 포트)는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도메인과 DNS

도메인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을 할 때,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가 도메인이다

위 그림에서 IP 주소는 142.250.196.110 이고, 도메인 이름은 google.com 이다 주소창에 IP 주소(142.250.196.110)를 입력하면, google.com으로 이동할 수 있다

DNS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로,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경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모든 PC는 IP 주소가 있다. 그러나 모든 IP 주소가 도메인 이름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로컬 PC를 나타내는 127.0.0.1localhost 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외의 모든 도메인 이름은 일정 기간 동안 대여하여 사용해야다
그렇다면 이렇게 대여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는 어떻게 매칭하는 걸까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 이름과 매칭된 IP 주소를 확인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네트워크에는 이것을 위한 서버가 별도로 있다

만약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naver.com을 입력한다면, 이 요청은 DNS에서 IP 주소(125.209.222.142)를 찾는다. 그리고 이 IP 주소에 해당하는 웹 서버로 요청을 전달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브라우저 에러

브라우저 에러 메시지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와 Chrome 브라우저가 소통하는 단계, 또는 기기와 네트워크의 연결,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없는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발생한다

ex) 크롬 브라우저 에러메시지

chrome://network-errors/

profile
즐겁게 살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