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개의 리전 안에 여러 개의 AZ가 있고, AZ에는 데이터 센터가 있음
하나의 AZ가 무너져도 괜찮음 다른 AZ에 지장이 가지 않음
CIDR 블록으로 VPC 크기를 지정하여 생성
/16(제일 작음)~/28(가장 큼)의 크기까지 지원
AWS Cloud 안에 우리 account가 있고, 그 안에 리전이 있음. 리전이 서비스하는 VPC를 만들 때는
VPC의 IP 대역을 정의한다
권장대역: RFC1918 대역/ 권장 프리픽스: /16(65536개 주소)
서브넷을 위한 가용영역을 선택해야함
용도에 따라 분리할 수 있음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하고 연결
정확한 destination을 지정해주면 로컬, 그게 아니면 internet gateway를 통해 통신함
트래픽 접근 제어
프라이빗 서브넷을 구성하더라도 Outbound 통신을 위해서는 NAT gateway가 무조건 추가되어야함. NAT gateway >> internet >> dest ip
internet gateway의 유무에 따라 프라이빗과 퍼블릭 통신을 구분함
AMI ID를 사용하여 API 또는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AWS CLI)를 통해 시작
aws ec2 run-instances --image-id ami-04681a1dbd79675a5 --instance-type c4.8xlarge --count 10 --key-name MyKey
근데 정지된 상태에서도 스토리지 비용은 내야한다.
인스턴스 세대가 높을수록 성능도 높다고 했던 것 같다
앞에 숫자-가 붙는게 인스턴스가 나뉘는 걸 뜻함
e.g. 2 – c7gn.4xlarge라는 것은 4xlarge 크기인 인스턴스가 2개라는 거임
스팟 인스턴스와 같은 경우에는 예비 용량으로 나중에 누군가 예비 용량을 필요로한다면 가져갈 수 있음. 그래서 테스트 용도같은 걸로만 사용함 대신 비용 절감은 할 수 있음
'>= AZ 3개와 같은 경우는 최소 3개로 데이터 유실의 가능성이 적음(하나가 없어져도 나머지가 있으니까)
IA(Infrequent Access) 잘 접근하지 않는 데이터는 아카이브용임 Intelligent tiering과 같은 것에 넣어두게 되면 알아서 데이터를 분류해줌. 근데 그러려면 모니터링을 해야하니까 비용이 발생함
s3 버전 관리- 버전 별로 관리할 수 있게끔 되어있음
s3 Storage Lens- 스토리지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해주는 대시보드. 활동 지표와 대화형 대시보드를 통해 스토리지를 이해, 분석 및 최적화하여 Organization, 특정 Account, Region, Bucket 등에 대한 데이터를 집계 가능
s3 라이프사이클 - 잘 사용하지 않는 오브젝트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바꾸거나 삭제할 수 있는 규칙을 정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