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아키텍처 설계: 스타듀밸리 스타일 게임

ssini·2025년 1월 21일
0

지금까지 배운 서버 아키텍처 지식을 활용해서 실제로 게임을 만든다면 어떤 구조가 좋을지 고민해보자.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스타듀밸리 같은 게임을 예시로 들어서, 혼자서도 재미있게 즐기고 친구들과도 함께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을 설계해보겠다.


1.1 게임의 핵심 요구사항

우리가 만들 게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혼자서도, 친구들과도 모두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각 플레이어는 자신만의 농장을 꾸미고 운영할 수 있고, 친구들을 초대해서 함께 농사를 지을 수도 있다! 이런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필요하다.

  • 개인 농장에서의 싱글 플레이
  • 친구들과 함께하는 멀티플레이
  • 비밀번호로 보호된 프라이빗 방 생성
  • 게임 도중 친구들의 자유로운 참가/퇴장

1.2 서버 구조 설계

하이브리드 서버 구조

이런 게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하이브리드 구조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했다. 중앙 서버와 P2P 방식의 장점을 모두 활용하면서도 각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체 시스템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로비 서버 (Lobby Server)

로비 서버는 게임의 첫 관문이자 모든 멀티플레이 세션을 관리하는 중심이다. 플레이어들이 서로 만나고 게임을 시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일들을 한다.

  • 실시간 방 목록 관리 및 제공
  • 방 생성/삭제 요청 처리
  • 플레이어 입장/퇴장 관리
  • 호스트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서버 (DB Server)

DB 서버는 게임에 필요한 모든 중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한다.

  • 방 정보 (제목, 설명, 비밀번호, 현재 상태 등)
  • 플레이어 정보 (계정, 접속 기록 등)
  • 게임 메타데이터

게임 룸 (P2P Host)

게임 룸은 실제로 게임이 진행되는 공간이다. 방을 만든 플레이어(호스트)가 중심이 되어 관리한다.

  • 게임 상태 관리 및 동기화
  • 플레이어 간 연결 관리
  • 실시간 상호작용 처리
  • 방 종료 시 정리 작업

1.3 게임 플레이 시나리오

이제 실제로 게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간단한 예시를 통해 살펴보자!

방 생성과 게임 시작

  1. 영희가 친구들과 함께 놀고 싶어서 새로운 방을 만든다!
  2. 로비 서버가 방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영희를 호스트로 지정한다.
  3. 철수와 민수가 방 목록을 보다가 영희의 방을 발견하고 들어온다.
  4. 이제 같이 게임을 즐기면 된다.

게임 진행 중

  • 모든 플레이어가 P2P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소통한다.
  • 캐릭터가 움직이거나 농작물 상태가 바뀌면 바로바로 공유된다.
  • 수확이나 건설 같은 중요한 활동은 호스트가 확인하고 동기화한다.

예외 상황 처리

  • 호스트인 영희의 연결이 끊어지면 게임방이 닫힌다.
  • 철수나 민수의 연결이 끊어지면 해당 플레이어만 게임에서 나간다.
  • 게임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면 로비 서버가 알아서 처리한다.

1.4 기술적 고려사항

이런 구조로 게임을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잘 챙겨야 한다.

안정성 확보

  • 네트워크가 불안정할 때 대처 방안
  • 데이터 동기화가 실패했을 때 복구 방법
  • 게임이 갑자기 종료됐을 때 처리 방안

성능 최적화

  • P2P 연결 시 지연 시간 줄이기
  • 데이터 동기화 효율적으로 하기
  • 시스템 자원 아껴 쓰기

확장성 고려

  •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접속해도 버티기
  • 새로운 기능 쉽게 추가할 수 있게 하기
  • 서버 자원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하이브리드 구조는 중앙 서버의 안정성과 P2P의 빠른 실시간 상호작용이라는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어 우리 게임에 적합한 구조라고 생각한다. 구현의 복잡도는 있지만, 게임의 요구사항을 잘 충족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선택이 될 것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