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스키마에 대한 설명으로 거기가 먼 것은?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다.
-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에 저장된다.
- 메타 데이터(meta data)라고도 한다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정의다
02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물리적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이해한 구조다.
레코드의 구조, 레코드를 구성하는 필드 크기,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인덱스를 이용한 레코드의 접근 경로 등과 같이
실제로 저장되는 방법을 정의한다.
-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 슈퍼 스키마(super schema)
03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이해한 구조다.
각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여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1.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2.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3.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4. 슈퍼 스키마(super schema)
04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사용자 관점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다.
- 조직 전체의 관점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다.
- 저장 장치 관점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다.
-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들 간의 관계와 제약조건을 정의한다.
- 접근 권한, 보안 정책을 정의한다.
-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서브 스키마(sub schema)라고도 한다.
0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 중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두 구조 사이의 대응 관계, 즉 사상을 명세하여 하나의 물리적 구조로 여러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지원하게 구조를 지원하게 하는 것은 어떤 기능에 포함되는가?
- 사상기능
- 정의 기능
- 조작 기능
- 제어 기능
06 논리적 데이터의 독립성을 설명한 것은?
- 개별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않고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 물리적인 파일 구조를 변경하더라도 개념 스키마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 개별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관점을 변경하지 않고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다.
-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다.
07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기존 응용 프로그램을 변경하면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도 이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다.
-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할 때,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도 변경되는 것이다.
- 기존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할 수 없는 것이다
- 기존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08 데이터 사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데이터 사전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라고도 한다
-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스키마 및 여러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 사용자가 데이터 사전에 내용을 직접 추가한거나 수정할 수 없다.
-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므로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
09 데이터 사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생성하고 유지한다
- 데이터 사전의 내용은 새로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는 데이터 사전의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
- 메타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로 시스템 카탈로그라고도 한다.
10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주요 업무와 거리가 먼 것은?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정의
- 보안 및 접근 권한 정책 결정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 무결성 유지를 위한 제약조건 정의
11 사용자가 데이터의 삽입, 삭제, 수정, 검색 등의 처리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요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언어는?
- 데이터 정의어
- 데이터 조작어
- 데이터 제어어
- 데이터 요청어
12 데이터 제어어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 무결성 유지
- 회복 및 동시 공유 제어
- 접근 제어 및 권한 부여
스키마 정의
13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 변경, 삭제할 수 있는 데이터 언어는?
- 데이터 정의어
- 데이터 조작어
- 데이터 제어어
- 데이터 관리어
14 데이터의 보안, 무결성, 회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데이터 언어는?
- 데이터 정의어
- 데이터 조작어
- 데이터 제어어
- 데이터 관리어
1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트랜잭션 관리자는 무결성 제약조건 검사, 사용자의 접근 권한 검사, 병행 제어, 회복 등과 관련한 작업을 수행한다.
- 데이터
조작어로 스키마의 구조를 기술하여 데이터 사전에 저장한 후 필요할 때 활용한다
- 저장 데이터 관리자는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사전에 대한 접근을 책임진다
- DML 컴파일러는 데이터 조작어로 작성된 데이터의 처리 요구를 분석하여 런타임 데이터베이스 처리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한다.
16 다음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다.
( ㄱ )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명세한 스키마 정의를 해석하고 데이터 사전에 저장한다.
( ㄴ )는 저장 데이터 관리자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 처리 요구를 실제로 실행한다.
( ㄷ )는 응용 프로그램에 삽입된 데이터 조작어를 추출한다.
( ㄹ )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접근 권한, 무결성 제약 조건 등을 검사한다
ㄱ: DDL 컴파일러
ㄴ: 런타임 데이터베이스 처리기
ㄷ: DML 프리 컴파일러
ㄹ: 트랜잭션 관리자
17
( A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것이다.
그리고 ( A )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된 값을 ( B )라고 한다.
A: 스키마
B: 인스턴스
18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 )는 개념 스키마와 내부 스키마의 대응 관계를 정의한 것으로,
저장 인터페이스라고도 한다.
개념/내부 사상
19
( A )는 하위 스키마를 변경하더라도 상위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의미한다.
3단계 데이터베이스는 구조에서는 두 가지 유형으로 존재한다.
이 중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외부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 B )라고 한다
A: 데이터 독립성
B: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20
( A )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곳으로, 스키마, 매핑 정보, 다양한 제약 조건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 A )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실제로 접근하는 데 필요한 위치 정보는 ( B )에서 관리한다
A: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
A: 시스템 카탈로그(system catalog)
B: 데이터 디렉터리(data directory)
2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내부적으로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 요구를 해석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A)와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사전을 관리하고 접근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B)로 구성되어 있다.
A: 질의 처리기
B: 저장 데이터 관리자
22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schema)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것
2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
24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 다섯 가지를 설명하시오.
사용자, 데이터 언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25 데이터 독립성의 의미를 설명하고,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데이터 독립성을 실현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하위 스키마를 변경하더라도 상위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
26 데이터이스 관리자가 담당하는 주요 업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운영, 관리한다.
27 데이터 언어를 사용 목적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을 설명하시오.
데이터 정의어(DDL): 스키마를 정의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기 위해서 사용함
데이터 조작어(DML): 데이터의 삽입, 삭제, 수정, 검색 등의 처리를 요구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데이터 제어어(DCL): 동시 공유가 가능하면서도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내부적으로 필요한 규칙이나 기법을을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