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시스템(DataBase System)
-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
- 사용자, 데이터 언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컴퓨터로 구성됨
인스턴스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된 값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목적: 데이터 독립성을 실현하는 데 있음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관점에 따라 세단계로 나눈 것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사상 또는 매핑
스키마 사이의 대응 관계
- 외부/개념 사상: 외부와 개념 스키마의 대응 관계
- 응용 인터페이스(application interface)라고도 함
- 개념/내부 사상: 개념 스키마와 내부 스키마의 대응 관계
- 저장 인터페이스(storage interface)라고도 함
- 미리 정의된 사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
미리 정의된 사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y)
하위 스키마를 변경하더라도 상위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는 영향을 받지 않음
-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면 관련 외부/개념 사상만 정확하게 수정해주면 됨
-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개념 스키마는 영향을 받지 않음
-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면 관련된 개념/내부 사상 사상만 정확하게 수정해주면 됨
데이터 디렉터리(data directory)
- 데이터 사전에 있는 데이터에 실제로 접근하는 데 필요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 일반 사용자의 접근은 허용되지 않음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user database)
사용자가 실제로 이용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일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근하는 모든 사람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DataBase Administrator)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운영, 관리함
- 주로 데이터 정의어와 데이터 제어어를 이용
- 최종 사용자(=일반 사용자)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조작(삽입, 삭제, 수정, 검색)함
- 주로 데이터 조작어를 사용
- 캐주얼 사용자와 초보 사용자로 구분
- 응용 프로그래머
- 데이터 언어를 삽입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함
- 주로 데이터 조작어를 사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사용자이 데이터 처리 요구 수행
주요 구성 요소
- 질의 처리기: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 요구를 해석하여 처리함
- 저장 데이터 관리자: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사전을 관리하고 접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