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 01. 유선통신망
01. 회선 교환망(circuit switching network)
💡 회선 교환망: 자동 스위치를 이용해 회선을 (자동으로) 움직여 통신하는 네트워크
- 전선(circuit) / 바꿔가며 (switching)
⇒ 통신을 원하는 호스트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 경로를 미리 설정하는 방식
- 수동식 회선 교환
- 전화기 발명 초기, 전화번호를 누르는 단추 X → 10명의 사람과 전화하려면 각각 10대의 전화기가 필요
- 이후, 수동식 전화교환 시스템(회선 교환) 등장
- 교환원이 전선을 바꿔 꽂아 상대방 연결 (→ 추후 자동 스위치 → 라우터)
- 전자식(자동식) 회선 교환
- 수동식 이후 전자식 교환기가 생겨 전화번호를 누르면 번호에 해당하는 선(circuit)을 자동으로 연결
- (전화망처럼) 자동식 회선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회선 교환망이라고 한다.
- 공중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전화망에서는 통신이 시작되기 전, 통신 합의 과정과 콜 셋업 필요
- 콜 셋업(call setup)
💡 콜 셋업: A 전화기에서 B 전화기로 가는 여러 개의 경로 중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회선 = 서킷
- A 전화기에서 02 574를 누르면 02번 교환기 - 5번 교환기 - 7번 교환기로 가는 여러 길 중 하나가 선으로 열결된다 ⇒ 콜 셋업 (번호를 주소로 사용)
- 콜 셋업 성공시, 전화벨이 울리고 전화를 받으면 통신 시작!
- 통신 합의 과정
💡 통신 합의 과정: 전화망에서 통신이 시작되기 전 거치는 단계
- 연결 요청, 연결 요청 수락 …
- 수신자가 이미 전화 중이거나 수락하지 않으면 통신 합의 X.
콜 셋업으로 결정된 경로는 통신이 끝날 때까지 A, B 전화기만 독점적으로 사용
→ 통신이 끝나기 전 다른 사람이 경로 사용 불가
⇒ 통신 과금 방식 단순 (시간당)
⇒ 즉, 공중 교환 전화망은 회선 교환 방식 사용,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전화망
02. 패킷 교환망(packet switching network)
- 인터넷 망 = 패킷 교환망
🌟 **인터넷: 다양한 종류의 LAN들을 하나의 망으로 묶은 것**
- 3번 네트워크 계층 담당
-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단위 ⇒ 패킷(packet)
- 패킷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프로토콜 ⇒ IP (네트워크 계층 속 프로토콜)
IP 주소를 보고 라우터가 패킷을 어느 선으로 보낼지 결정
→ 이것이 모이면 경로! ⇒ 인터넷은 패킷 교환망이다
- 회선 교환망 → 패킷 교환망 비교
- 전자식 교환기 → 라우터
- 이때, 연결된 LAN들과 라우터들을 관리하는 주체들은 서로 다르다. ⇒ 서로 다른 라우터들이 협업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것.
- 전화번호 → IP 주소
- 통신 합의 과정과 콜 셋업 → 전보(datagram) 방식
- 합의 없이 무조건 데이터 전송. 정해진 경로 X
- 목적지에서 가장 빠르다고 생각하는 길로 패킷 이동
- 여러 개의 패킷을 전송할 때, 각각 다른 길로 가게되어 순서가 뒤바뀌거나 사라질 수도 있다 ⇒ TCP(전송 계층)가 검수
- 사용 시간으로 과금 → 전송된 데이터의 양으로 과금
03. 전화망과 인터넷망의 비교
전화망 | 인터넷망 |
---|
관리 주체 분명 | 서로 다른 관리 주체 |
일관된 시스템에 의해 데이터 전송 | 라우터의 협업에 의해 패킷 전송 |
콜 셋업을 통해 이동경로 결정 | 최대한 빠른 길로 패킷 전송 |
정해진 경로 공유 불가(독립적) | 모든 선을 패킷들이 공유 |
데이터의 안정적 전송 | 네트워크 효율성 향상(우선) |
데이터가 순서에 맞게 도착 | 가끔 데이터 순서가 바뀌거나 사라짐 |
- 인터넷망이 패킷 교환망인 이유
- 라우터들이 고장나더라도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요시 함 → 인터넷의 시초 아파넷(미국 국방성이 주도함) 설계 당시 전쟁으로 라우터가 고장날 것을 염려. → 콜 셋업으로 특정 경로를 고정한 것보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될 것이기 때문
-
회선 교환의 단점
- 교환기가 고장 날 경우 통신이 멈출 수 있다
- 선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못하고 독점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효율성이 떨어진다
-
패킷 교환의 장점
- 라우터가 몇 개 고장 나더라도 우회하여 패킷을 보낼 수 있다
- 모든 선을 패킷들이 공유하여 네트워크 효율성이 올라간다.
- 전화망과 인터넷망의 기능적 비교
| 전화망(회선) | 인터넷망(패킷) |
---|
콜 셋업이 필요한가? | O | X |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 이동하는가? | O | X |
데이터가 순서대로 도착하는가? | O | X |
선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가? | X | O |
중계기가 고장 나는 경우 통신이 가능한가? | X | O |
사용 시간으로 과금하는가? | O | X |
전송된 데이터의 양으로 과금하는가? | X | O |
- 회선 교환의 단점
- 선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못해 네트워크 효율성이 떨어진다.
- 교환기가 고장 날 경우 통신이 멈출 수 있다.
04. 사설망(Public Network)
💡 사설망: 개인이나 특정 기업이 사적인 목적을 위해 전용 회선을 설치하고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여 만든 근거리 통신망(LAN), 인트라넷.
⇒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네트워크 (↔ 공중망(public network))
- 사설망 사용 이유
사설망을 사용하는 이유는 보안 때문이다.
- IP 카메라 해킹 → 동영상 유출 사고
- 해킹에 의해 데이터 유출 혹은 시스템이 망가지는 사고
- 금융 전산망은 인터넷망, 내부 사설망을 법적으로 분리하도록 함 ⇒ 망 분리
- VPN(Virtual Private Network)
💡 VPN: 이미 설치된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구축된 사설 네트워크
-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의 장점을 모두 가진 가상 회선(virtual circuit) 방식 사용
- 삼성, LG처럼 전세계에 지사를 갖는 회사는 모든 곳에 사설망을 구축하는 것은 어렵다.
- 인트라넷 구축 시, 보통 해당되는 컴퓨터만 연결 → 즉, 회선이 없는 지역에서는 망에 접근 불가능 → 회사 규모가 커질 경우 전용선 구축 비용이 천문학적
- 예시) 지사나 영업소, 이동근무자가 지역적 제한 없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사로부터 망을 독점적으로 임대하여 연결 → 사설망과 같은 효과
- 확장성이 뛰어난 인터넷(공중망)을 인트라넷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가상 머신처럼) 사설망을 가상화 시켜 인터넷 위에 구현 → 가상사설망
- JVM을 설치하면 자바 코드를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
⇒ 즉, 공중망을 전용선으로 사설망을 구축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Section 02. 무선통신망(= 이동통신망)
01. 무선통신망의 역사
- 무선 호출기
- 처음 만들어진 무선통신 시스템
- 단방향
- 일정 양의 숫자만 전송 가능
- (과거) 삐삐, (현재) 진동벨
- 초기 휴대폰
- 1984년, 이동통신 서비스 시작
- 1997년, 새로운 통신 서비스, 발신 전용 무선 전화 씨티폰
- 서비스 시작 후 3년 만에 큰 적자를 내고 사업을 접음
- 1997년 말,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휴대폰
- 통신 품질이 떨어지는 대신 수신, 발신, 문자 서비스까지 가능
- 요금도 저렴 → 급속도로 보급
02. 세대별 이동통신 서비스
- 1G: AM/FM 라디오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음성 전송
- 2G: 아날로그 → 디지털. 코드분할 방식(CDMA) 기술 상용화
- 3G: 무선 데이터 통신 가능
- 4G(LTE):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가능. 음성은 3G
- 5G: 최대 20Gbps의 속도. 응답지연 시간의 혁신적인 축소 → 데이터 전송 속도 상승
03. 휴대폰 서비스의 특징
- 셀(cell)
💡 셀: 하나의 기지국이 담당하는 영역. 기지국의 전파가 닿는 지역
실제로 기지국의 영역은 원이지만 그림 상 겹쳐 그려야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육각형으로 표시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휴대폰의 영어 명칭, 셀에서 통신이 가능한 전화
- 핸드오프(hand-off, 핸드오버(hand-over))
💡 핸드오프: 휴대폰이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다음 기지국으로 넘겨주는 기능
- 휴대폰이 기지국을 벗어나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 (씨티폰(발신만 가능)은 안테나가 설치된 지역에만 통신 가능)
- 기본 기지국(base station)
💡 기본 기지국: 자신의 전화기가 등록되어 있는 기지국
- 가장 통신이 자주 일어나는 기지국
- 등록된 사용자를 추적
- 누군가 나에게 전화를 건다 → 데이터(발신자)는 기본 기지국으로 전송 → 이 데이터를 사용자가 머물고 있는 기지국으로 전송 → 원활하게 통신 가능
- 현재 위치 파악을 위해 휴대폰과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통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