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 1: 통신 이해하기 01. 통신 이해하기 - 통신(Communication) 💡 사전적 정의: 의사, 감정, 사고를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것 책에서의 정의: 한 쪽의 데이터를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것 - 통신 시스템 전기 발명 이
용량 단위 8bit = 1Bytebps (bit per second): 초당 전송 비트. 네트워크 전송 속도 단위Hz(헤르츠): 1초 동안 몇 번의 상태가 변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 정보를 표현하는 또다른 단위네트워크의 구성 = LAN 계층, 인터넷 계층LAN이 보급
Section 01. 신호 이해하기 01.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 신호(signal): 데이터를 한쪽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는 데 사용되는 파형 혹은 데이터 흐름(data stream) 실제로 상대방에게 대화하는 것은 나의 성대를 움직여 목소리(소리 파형)를 만들고
전송매체(transmission media): 신호를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물질무선 전송 매체: 공기. 파동이 공기를 통해 전달된다.유선 전송매체: 통신선(communication line)구리선, 광섬유, 등 …통신선의 역할은 외부의 영향을 덜 받
전선(circuit) / 바꿔가며 (switching)⇒ 통신을 원하는 호스트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 경로를 미리 설정하는 방식전화기 발명 초기, 전화번호를 누르는 단추 X → 10명의 사람과 전화하려면 각각 10대의 전화기가 필요 이후, 수동식 전화교환 시
네트워크 계층(3번)에서 보낸 패킷에 데이터 링크 계층이 사용하는 헤더를 붙인 것.프레임 = 패킷 + 헤더2번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을 이용하여 LAN에 속해 있는 노드들에게 데이터를 전송.데이터 전송 방식비동기식 전송: 예고 X동기식 전송: 예고 O → 현재
💡 LAN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적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전송 형태를 결정하며, 물리적인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게 전송하는 역할5계층, OSI 7계층은 인터넷 보급 후 만들어진 구분법LAN은 인터넷 이전에 개발되어 사용된 만큼, 인터넷 이전
와이파이(WiFi)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 상표이며, IEEE 802.11 표준에 기반 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AN; WLAN)이다.(유선 LAN은 이더넷)하나의 LAN 선에 여러 기기(컴퓨터, 노트북, 프린터)를 공유하도록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에서 다양한 규격의 LAN들을 지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네트워크 계층을 대표IP가 사용하는 데이터는 패킷(packet,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단위)패킷: (전송 계층의) TPDU + IP 헤더⇒ 네트워크 계층의
라우팅 알고리즘(routing algorithm): IP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라우터가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 결정하는 알고리즘정적 라우팅 알고리즘: 현재의 상태(실시간 상태 반영 X)에서 어떤 곳으로 패킷을 보내야 목적지에 도달하는지를 찾는
네트워크 계층은 IP와 함께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송한다. 단순해 보이지만, 패킷을 전송함에 있어 수행되어야할 작업은 아주 많다.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가장 중요한 작업) 라우팅IP 주소 체계와 도메인 주소를 관리한다.IP - MAC 주소 변환
효율적인 주소 활용을 위해 조직의 규모에 따라 하나의 클래스를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분할한다.서브넷 마스크: IP 주소에서 특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보통 네트워크 주소 부분을 1로, 호스트 주소 부분을 0으로 한다.AND 연산을 통해 IP 주소 중에서 네트워크 주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은 네트워크 계층의 오류를 보정해주어 인터넷에서의 오류 없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계층이다.TCP: 여러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준다.전송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프로그램들은 TCP를 통해 인터넷을 이
Section 01. 전송 계층 관련 프로토콜 분석 01. TCP 헤더 분석 TCP는 전송 계층이 해야 하는 대표적인 작업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전송 계층이 해야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데이터 무결성 보장, 혼잡 제어(흐름 제어), 연결 설정 및 해제는 모두
하이퍼 텍스트(hyper text): 특정 위치에 링크(link)를 걸어 다른 문서와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시초, 모자이크에서 제공한 기능HTML: 웹 페이지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고안된 마크업 언어HTML은 SGML과 유사하게 태그를 사용하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의 식별자: IP 주소각각의 장치는 고유한 MAC 주소로 식별IPv4 주소: 32비트 길이 → $2^{32}$ or 4,294,967,296의 주소 공간을 갖는다. (현재는 고갈)인터넷 상에서 유일한(unique) 식별자 → 두 개의 장치가 같은
🌟 (개념적인 수준에서) 전체 인터넷: 수백만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블랙박스 네트워크(서로 연결된 LAN(근거리)과 WAN(원거리)의 조합으로서)인터넷: LAN과 WAN들의 조합인 네트워크들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 연결 장치를 통해 연결된 수 많은 네트워크(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