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K 플립플롭의 특징
게이티드 JK 플립플롭 특징
불안정 상태 제거
- SR 플립-플롭에서는 S=R=1일 때 출력이 정의되지 않아 “금지” 상태가 발생
- JK 플립-플롭은 이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됨
입력 의미
- J ⟷ “Set” (S)
- K ⟷ “Reset” (R)
J=1, K=1인 경우 JK 플립플롭의 출력은 이전 출력의 보수 상태로 변화
가장 널리 쓰이는 플립-플롭
게이티드 JK 플립플롭 구성
EN=0 시 G₃/G₄ 출력은 항상 1 → 플립플롭 출력 불변
게이티드 JK 플립플롭 동작
(EN=1, CP=1 순간 기준)
1. J=0, K=0 → Hold
- G₃ 출력 = 1, G₄ 출력 = 1
- S̄ = R̄ = 1 → SR 래치 상태 불변
- Q(t+1) = Q(t)
2. J=0, K=1 → Reset( Q(t+1)=0 )
- G₄에 K=1 입력 → R̄ = 0
- S̄ = 1 유지
- SR 래치가 “Reset” 동작 → Q(t+1)=0, Q̄(t+1)=1
3. J=1, K=0 → Set ( Q(t+1)=1 )
- G₃에 J=1 입력 → S̄ = 0
- R̄ = 1 유지
- SR 래치가 “Set” 동작 → Q(t+1)=1, Q̄(t+1)=0
4. J=1, K=1 → Toggle ( Q(t+1)=Q̄(t) )
- G₃ & G₄ 모두 “활성” → S̄ = R̄ = Q̄(t) (feed-through)
- SR 래치에 이전 Q̄(t) 값이 입력 → 출력이 반전
- Q(t+1)=Q̄(t) (토글)
게이티드 JK 플립플롭 구성
JK 플립플롭의 특성표
표를 채우는 법
- J=K=0 → 상태 유지
- J=0,K=1 → Q=0
- J=1,K=0 → Q=1
- J=K=1 → Q=Q̄
특성 방정식
게이티드 JK 플립플롭 상태도
원 : 다음 상태 Q(t+1)
에지 트리거 JK 플립플롭 구조
기존 게이티드 JK 플립-플롭에 펄스 전이 검출기를 추가
에지 트리거 JK 플립플롭의 논리기호와 진리표
상승 에지 트리거 JK 플립플롭
하강 에지 트리거 JK 플립플롭
주종형 JK 플립플롭
Master와 Slave 2단으로 구성
클록(EN) 신호
- Master에는 원래의 클록펄스 그대로,
- Slave에는 반전된 클록펄스가 입력
게이티드 T 플립플롭
JK 플립-플롭의 J, K 입력을 묶어 하나의 입력 T로 동작시키는 플립플롭
JK 동작에서 입력이 00 또는 11인 경우만 사용
- 00 → “Hold” (출력 유지)
- 11 → “Toggle” (출력 반전)
게이티드 T 플립플롭 진리표, 상태도
게이티드 T 플립플롭 진리표
게이티드 T 플립플롭 특성표
- T=0 (J=K=0) → 상태 유지
- T=1 (J=K=1) → Q=Q̄
T 플립플롭 특성 방정식
T 플립플롭 상태도
상승 에지 트리거 게이티드 T 플립플롭
하강 에지 트리거 게이티드 T 플립플롭
레지스터
레지스터의 분류
레지스터 활용 예
-
CPU 내부 연산
중간 연산 결과(덧셈의 자리올림, 곱셈 누적값 등) 임시 보관
-
데이터 이동
병렬 입·출력 ↔ 직렬 입·출력 변환 (시프트 레지스터)
-
상태 저장
제어신호 보관, 플래그 레지스터 등 시스템 제어
카운터(Counter) : 특수한 레지스터의 일종,
→ 레지스터는 다양한 카운터를 구성
레지스터(Register)의 입·출력 방식 분류
레지스터의 종류
직렬입력-직렬출력 레지스터
D 플립-플롭을 일렬로 연결한 셔프트 레지스터
동작:
- 입력 I를 첫 번째 FF의 D 입력에 직렬로 공급
- 매 클록 펄스마다 각 FF의 Q 출력이 다음 FF의 D 입력으로 전달
- 마지막 FF의 Q 출력을 O로 직렬 출력
직렬입력-병렬출력 레지스터
각 FF의 Q 출력을 모두 외부로 빼냄
동작:
- 입력 I를 첫 번째 FF에 직렬로 공급
- 매 클록 펄스마다 데이터가 오른쪽으로 이동
- 원하는 시점에 n개의 Qₐ…Qn를 동시에 읽어 병렬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