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운 내용 정리 테스트 기본 이해하기 개념 테스트는 이름 그대로,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는 작업입니다. 소프트웨어에 숨겨진 버그는 없는지, 여러 명이 동시에 이용할 때에도 잘 견디는지 등의 문제들을 꼼꼼히 점검하는 일입니다. 테스트를 거치지 않은 소프트웨어는 일
📌내용 정리 📌파이썬 기본 파이썬을 전반적으로 훑어본 결과 기존에 알고 있던 자바스크립트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자바스크립트와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키워드들이 상이하기 때문에 파이썬 사용시 그때그때 필요한 파이썬의 키워드들을 검색 및 적용한다면 큰 문제는 없다고 생
📌9.1 타입 변환이란?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캐스팅이라 한다. 개발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변환 되기도 한다. 이를 암묵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강제 변환이라 한다. 📌9.2 암묵적 타입 변환 [예제 09-03] 9.2.1 ...
📌5.1 값 값은 식(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 평가란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 예의 3은 단순한 아라비아 숫자가 아니라 숫자 리터럴이다.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해 숫자 리터럴 3을 코드에 기술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이를 평가해 숫자 값 3을 생성한다. 📌5.3 표현식 표현식은...
기본 명령어 📌출력 로그를 출력할 때는 print를 활용합니다. 변수 📌변수 선언 변수를 선언할 때는 변수명 = 값 으로 표현합니다. 📌네이밍 파이썬에서 변수, 함수의 네이밍은 snake_case 를 클래스는 PascalCase 를 사용합니다. 기본 자료형 >파이썬은 동적으로 타입이 관리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이 타입을 별도...
사람은 계산과 기억을 모두 두뇌에서 하지만, 컴퓨터는 연산과 기억을 수행하는 부품이 나눠져 있다. 컴퓨터는 CPU를 사용해 연산하고,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다. 메모리 셀 하나의 크기는 1바이트(8비트)
결론은 React에서 하던 설정과 거의 동일하다.환경변수로 사용하고 싶은 변수 앞에 REACTAPP을 추가하면 됐었다.REACTAPP대신 NEXTPUBLIC를 추가해주면 된다.
react와 styled-components를 활용해서 이미지 태그를 다룰 때는 보통 아래와 같이 활용했다.위의 코드와 같이 사용하려 하니 아래 사진에 나와 있는 오류가 발생했다.코드에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왜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지 궁금해서 Next.js공식홈페이지에
스타일컴포넌트에 createGlobalStyle이라는 속성이 있다.이 속성은 한 컴포넌트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데 랜더링 될 때, 이 컴포넌트는 전역 스코프에 스타일들을 올려준다.App.tsx전역으로 적용된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reset-react-css의 주소로
이틀 전만해도 push를 해주면 알아서 잔디가 심어지던 깃헙이 오늘보니 커밋한 내용들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구글링으로 오류해결방법을 찾으니 이메일주소를 확인해보는 것 , 메인브랜치 이름을 바꾸어 보는 것이였다.내 경우에는 원격레파지토리의 메인 브랜치의 이름을 바꾸면
npm i react-router-dom@5.3.0 react-queryreact-router-dom 버전 6.0.0부터 Switch를 Routes로 바뀌었다고 한다이 부분만 유의하면 최신 버전을 설치해도 상관없지만 익숙한 이전 버전으로 설치!
스타일컴포넌트(https://styled-components.com/docs/api여기에 theme를 정의를 하고, styled.d.ts안의 속성들은 동일해야 한다.기존 스타일컴포넌트로 테마를 적용해주는 것과 동일하다.
리액트와 타입스크립트의 도움을 이용해 form을 구현할 것이다.React.FormEvent<HTMLInputElement>을 작성해줌으로써, 타입스크립트는 이 함수가 InputElement에 의해서 실행될 것을 알게 된다.모두 이벤트가 작동되는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1);일때 타입스크립트는 따로 변수에 대한 타입을 지정해주지 않아도 state의 default value를 통해 타입을 유추해낸다.그래서 string타입을 넣으려고 하면 타입스크립트가 오류를 보여준다.co
1.config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dev.js, key.js, prod.js파일을 생성한다.2\. dev.js는 로컬환경일때, prod.js는 배포 후일때, key.js는 환경변수에 따라 정보를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해준다.dev.jsprod.jskey.js3.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