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김민지·2021년 7월 21일
0

깃허브 용어

  • 커맨드 라인 ( Command Line )
    윈도에서는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맥이나 다른 OS에서는 터미널이라고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마우스로 클릭하는 프로그램이 아닌 키보드로 입력을 받아 명령을 수행합니다.

  • 저장소 ( Repository )
    프로젝트가 살고 있는 저장공간. (혹은 디렉토리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다른 블로그나 카페글들을 보니 주로 'repo'라고 줄여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저장소 안에 코드, 텍스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버전 관리 ( Version Control )
    팀 단위로 프로젝트를 운영할 때 필수적인 기능인데, 깃허브는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페이지를 수정해도 각 사용자별로 수정 내용을 저장합니다.
    모든 시점의 '스냅 샷'을 저장하기 때문에 겹쳐 쓸 일이 없습니다.

  • 커밋 ( Commit )
    커밋을 하면, 그 시점의 자신의 Repo 스냅샷을 찍어서 체크포인트 깃발을 꽂아둔다. 생각하면 편합니다.
    보통의 체크포인트가 그렇듯이 수정을 하다 이 체크포인트로 되돌아가고, 복원할 수 있습니다.

  • 브랜치 ( Branch )
    자신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브랜치를 따서 (Branch off) 자기의 버전을 만드는 겁니다.
    작업을 마무리하면 프로젝트 메인디렉토리인 'master'에 브랜치를 'merge'합니다.

깃허브 사용법

  1. 로그인을 하고, Start a project를 클릭해줍니다.
  2. Repo의 이름과 주석 등을 작성하고, Create repository를 눌러서 저장소를 하나 만듭니다.
  3. 만들어진 repo는 자신의 프로필 클릭하고 Your Repositories 누릅니다.
  4. 저장소를 만든 후 저장소를 눌러보면 화면에 보이는 Clone or download라는 초록색 버튼을 눌러도 자신의 깃 레포지토리 주소가 보입니다.
  5. 돋보기 버튼을 눌러서 git bash를 검색해 들어가 줍니다.
    먼저 여기서 우리가 해야 할 작업이 있습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가입할 때 사용한 메일 주소"를 작성해줍니다.
  6. 입력을 다하셨으면 pwd 명령을 쳐서 현재 자신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파악합니다.
    이후 ls 명령어를 이용해 현재 이 위치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해봅시다.

Git 간단한 명령어

이 명령어들은 cmd 창에서도 되고, git bash에서도 실행이 됩니다.
원격 저장소(github 안에 있는)와 로컬 저장소 (내 컴퓨터에 있는)를 오가면서 개발을 할 때 유용합니다.

  • git init : 현재 디렉터리를 Git 저장소로 변환해줍니다.
  • git add : 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추가합니다. ( 예시로 test1.py를 추가하려면 git add test1.py 실제 추가가 아니라 깃의 저장소의 스냅샷에 포함된다고 생각하면 될듯 합니다.)
  • git commit : 디렉토리의 변경과 추가를 저장소에 기록합니다. ( git commit -m "New File" : 커밋 시 남길 메시지)
  • git push : 로컬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github에 반영합니다. ( git push origin master )
  • git checkout : 현재 위치하고 있지 않은 저장소를 체크아웃합니다. (예를 들어 master 브랜치를 보고 싶으면, git checkout mast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git merge : 브랜치에서 하던 작업을 끝내고, 동료가 볼 수 있는 master브랜치로 합치는 과정입니다.
  • git pull : 로컬 저장소 작업할 때, 작업하고 있는 저장소의 최신 버전을 받아옵니다.

자신의 Git Repo 주소는 https://github.com/(아이디)/(repo 이름). git입니다.

profile
j___x_x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