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포넌트(Component)

김민지·2021년 7월 21일
0

프로그래밍에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각각의 독립된 모듈을 뜻한다. 그림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컴포넌트 기반 프로그래밍을 하면 마치 레고 블록처럼 이미 만들어진 컴포넌들을 조합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1. 컴포넌트는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독립적인 업무 또는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이후 시스템을 유지보수 하는데 있어 교체 가능한 부품이다.

2. 컴포넌트는 구현, 명세화, 패키지화, 그리고 배포 될 수 있어야 한다.

컴포넌트의 정의나 형태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재사용 부품으로서의 컴포넌트가 되기 위해서는 아래의 내용을 만족해야만 한다.

1) 소스코드(source code)가 아닌 실행코드(execute code) 기반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미 구현(implemetntation)이 완료되어 있어야만 한다.
2) 컴포넌트는 해당 컴포넌트의 용도, 유형, 기술표준과 인터페이스등에 대한 정보들에 대해서 명세화(specification) 되어 있어야만 한다.
3) 교체가능한 컴포넌트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표준(standard)을 준수하여 개발해야 한다.
4) 컴포넌트가 개발되어 배포될 때 관련 문서와 코드들이 독립적인 단위로 패키지화(packaing)되어 있어야만 한다.
5) 컴포넌트는 독립적인 업무단위로 개발된 것이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만을 패키지한 컴포넌트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배포(deployment) 가능해야만 한다.

3. 하나의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컴포넌트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클래스들을 바탕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이렇게 개발된 컴포넌트가 실행될 때 해당 컴포넌트의 인스턴스(instance)인 컴포넌트 객체가 수행된다.

이때 컴포넌트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클래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이 수행되고 있는 것 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4. 컴포넌트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해 반드시 존재해야만 하며 이처럼 컴포넌트가 내부 정보를 숨기고 인터페이스만 제공함으로써 소프트웨어도 하드웨어처럼 조립 기반으로 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출처: https://thefif19wlsvy.tistory.com/24 [FIF's 코딩팩토리]

profile
j___x_x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