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을 거쳐서 영상에 포함된 의미를 분석.해석해 내는 과정
컴퓨터를 사용해 영상을 처리 즉, 이미지 처리를 연구하는
컴퓨터비젼이라는 범주에 속해 있음
객체 탐지 (Object Detection)
객체 존재의 유무 판단
찾고자 하는 객체의 특징을 사전에 추출하고
영상에서 해당 특징을 검출해내는 접근 사용
객체 인식 (Object Recognition)
탐지된 객체의 라벨링 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음
객체 추적 (Object Tracking)
동영상에서 발생
탐지된 객체, 인식된 객체를 매 프레임마다 확인하면서
객체의 움직임과 경로등을 파악하며 추적
객체 분류 (Object Classification)
탐지되고 인식된 객체들을 정해진 카테고리고 분류
객체 영역 분할 (Object Segmentation)
인식된 대상을 픽셀 단위로 정확히 분할
영상이 인식 되려면 먼저 객체의 특징을 사전에 정의하고 추출해야 함
(특징 : 주변과 다르게 숫자가 변하는, 수치적 느낌이 있는 것)
화소점 처리 (Point Processing)
원 화소의 값이나 위치를 바탕으로 단일 화소 값을 변경하는 기술
원래 값이나 위치를 기준으로
픽섹 안의 값을 변경하면서 이루어지는 처리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 방법이 있음
영역 처리 (Area Processing)
픽셀의 원래 값과 이웃하는 여러 픽셀이
서로 관계하여 생성된 픽셀 값을 기준으로 값이 변경되는 것
(ex. 샤프닝, 블러)
기하학 처리 (Geometric Processing)
디지털 영상 픽셀의 위치나 픽섹의 모임인 배열을
변화시키는 방법
(ex. 영상 회전, 이동)
프레임 처리 (Frame Processing)
(ex. 시간이 지나고 바뀌는 것과 바뀌지 않는것이 같이 있을 때)
1초 전 영상 데이터 - 지금 영상 데이터
인공 지능을 학습 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 전처리, 특징추출, 학습, 검증의
다섯 과정을 거쳐야 함
데이터 수집 ~ 특징 추출 : 트레이닝 데이터 셋을 모으는 것
학습 ~ 검증 : 학습을 시키고 추론 결과를 살피는 것
사람이 어떻게 학습 데이터를 만들어 주는지에 따라 인공지능의 효율이 달라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