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는 크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SQL(구조화 쿼리언어)를 기반으로 하고,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NoSQL로 데이터를 다룬다.
관계형 DB에서는 테이블의 구조와 데이터 타입 등을 사전에 정의하고, 테이블에 정의된 내용에 알맞은 형태의 데이터만 삽입할 수 있고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각 열은 하나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행에는 각 열의 데이터 형식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특정한 형식을 지키기 때문에, 데이터를 정확히 입력했다면 데이터를 사용할 때 매우 수월하다. 관계형 DB에서는 SQL을 활용해 원하는 정보를 쿼리할 수 있고, 이 말은 스키마가 뚜렷하게 보인다는 말과 같다. 즉 테이블 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MySQL, Oracle, SQLite, PostgresSQL, MariaDB
NoSQL은 말 그대로 주로 데이터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DB를 말한다. NoSQL이 SQL과 반대되는 개념처럼 사용된다 해서 NoSQL에 스키마가 반드시 없는 것은 아니다. 관계형 DB에서는 데이터를 입력할 때 스키마에 맞게 입력해야하는 것이고, NoSQL에서는 데이터를 읽어올 때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를 읽어온다. 이런 방식을 schema on read라고 하는데 읽어올 때만 데이터 스키마가 사용된다고 하여 데이터를 쓸 때 정해진 방식이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MongoDB, Casandra
NoSQL 기반의 비관계형 DB는 보통 다음과 같이 구성
Key-Value
의 쌍으로 나타내는 데이터를 배열의 형태로 저장. Key
는 속성 이름, Value
는 데이터 값Redis
, Dynamo
MongoDB
Cassandra
, HBase
Neo4J
, InfiniteGraph
데이터 저장 (Storage)
스키마
쿼리
확장성 (Scalability)
데이터베이스의 ACID 성질을 준수해야 하는 경우
ACID에 관한 설명은 정규화와 함께 블로깅하도록 하겠다. SQL을 사용하면 DB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외적인 상황을 줄이고 DB의 무결성을 보호할 수 있다.
금융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소프트웨어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구조적이고 일관적인 경우
데이터의 구조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및 저장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경우
빠르게 서비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구조를 자주 업데이트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