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이하 i18n)와 지역화(localization, 이하 l10n)은 제품을 언어 및 문화권 등이 다른 여러 환경에 대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때 i18n은 제품 자체가 여러 환경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제품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하며, l10n은 제품을 각 환경에 대해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i18n (internationalization)

  • i18n이란 internationalization(국제화) 라는 단어를 축약한 것이다.

  • 다양한 언어 및 지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프로세스로 이상적으로는 국제화는 설계의 기본 단계 중 하나이다.

  • i18n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것을 의미한다.

  1. 현지화, 국제적인 배포에 대한 장벽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설계 및 개발

    • 컴퓨터의 문자 인코딩 : 문자뿐만 아니라 숫자 표기 방법, 글자를 쓰는 방향 등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시스템들은 유니코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코딩 문제를 해결하였다.

    • 글자의 그림 표현 (텍스트를 담고 있는 이미지)

    • 문자열 연결에 신경쓰는 것

    • 유저 인터페이스의 문자열 값에 의존하지 않는 것 등

  2. 지역, 언어 또는 문화적 지원

    • 현지화 데이터

    • 날짜/시간 형식, 다른 역법의 사용

    • 시간대

    • 통화(通貨)

    • 이름과 직함

    • 정부 지정 번호나 전화 번호, 주소, 우편 번호 등 사회 제도

    • 단위 등

l10n (localization)

  • l10n이란 Localization(지역화) 라는 단어를 축약한 것이다.

  • 특정 대상 시장의 언어나 문화 및 기타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제품을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 l10n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 번역(언어 현지화)

    • 언어 문화권(한자 등)에 대한 특별한 지원

    • 지역의 관습

    • 기호

    • 정렬 순서

    • 미학, 미적 감각

    • 문화적 가치, 사회 환경 등

I2 Localization

  • 로컬라이징(번역 작업)을 간편하게 만들어주는 템플릿 에셋이다.

  • Image, Text, Sounds, Fonts, Sprites, Atlases, Prefabs, TextMeshes, Dropdowns 등등 매우 많은 것을 현지화할 수 있다.

  • 채팅 번역, 구글 자동 번역, 구글 스프레드시트 또는 CSV 파일과 연동이 가능해 매우 편리하다.

  • 언어별 미리보기 기능도 지원해 현지화에 따른 결과물을 확인하기 좋다.

  • 사용 방법은 차후 정리하기로 하고, 아래 링크를 통해 사용법을 공부할 수 있다.

참고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