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정리 / bank_account_system

말차·2022년 9월 3일
0

🌼지식🌼

목록 보기
8/10
post-thumbnail

공부한 블로그들:
https://hardner.tistory.com/1 (명령어들 한 눈에 보기 쉬움)
https://developer88.tistory.com/20 (명령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imf4&logNo=220762181574 (auto_increment 관련)
https://yusang.tistory.com/104 (primary key 관련 에러)
https://futurists.tistory.com/14 (키들 설명)

위 블로그들을 보면 대충 MySql이 무엇인 지 감이 올 수 있다.

1. mysql 실행

mysql -u root -p

일반적으로 위 명령을 터미널에서 치면 되는데,
ERROR 2002 (HY000):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tmp/mysql.sock' (2)라는 에러가 발생하여

brew services start mysql

로 mysql을 시작하고 위 명령어를 눌러 실행했다

2. database

2-1. databases 보기

show databases

를 하면 mysql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들을 보여준다. 참고로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은 다르다. 테이블들의 모임이 데이터베이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show databases들 하면 데이터베이스들을 보여주고 여기서 특정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해야 그 안에 들어있는 테이블들을 볼 수 있다.

2-2. database 선택

use <데이터베이스 이름>

예로 아래의 사진에서 databases들은 bank, information_schema, mine...등이 존재하고 나는 use bank라는 명령어를 통해 bank라는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했다.

2-3. database 생성

2-4. database 삭제

drop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이름>

3. table

3-1. 테이블 생성

여기서부터 조금 복잡해지는데, 일단 테이블을 생성하면 테이블이 가질 데이터들의 형태를 지정해 줘야 한다. 예로 "조성진 : 피아니스트"라고 저장하고 싶으면 "name(string) : job(string)"처럼 말이다. 필드명, 간단하게 데이터명은 알아서 짓고, 그 데이터의 자료형은 https://www.w3schools.com/sql/sql_datatypes.asp 에 맞춰서 지어준다. 예로 위 사진에서 account_num이라는 데이터는 최대 20길이의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다. 초기화는 되어 있지 않다.

  • Primary Key(기본키): 테이블에서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
  • Foreign Key(외래키): 테이블 내의 열 중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열
    간단하게 다른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 타입을 내가 있는 테이블의 데이터로서 사용할 때, 해당 데이터는 외래키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외래키로 사용되는 데이터들은 자신이 속한 테이블내에서 기본 키로 선언되어 있어야 한다. (참조 : https://yusang.tistory.com/104)

4. 정보 보기

4-1. desc 명령어

위와 같이 Account라는 테이블에 대해서 desc 명령어를 입력하면 테이블 구조에 대해서 볼 수 있다.

4-2 select 명령어

select 명령어를 사용하면 테이블내를 볼 수 있다. 지금처럼 select * from User라고 하면 User 테이블의 모든 저장값들을 보여달라는 명령어이다. 특정 조건의 저장값을 보고 싶다면

select * from User where password = 0

위와 같이 password의 항목이 0인 저장값들을 User에서 가지고 와라라고 할 수 있다.

5. 데이터 삽입하기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할 때에는 insert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로 User라는 테이블에 현재는 han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의 정보밖에 없지만 위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하면 choi라는 데이터가 새로 저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