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소형,저가
-성능: 수십년 전의 대형 메인 프레임 컴퓨터의 성능을 능가
주요 발전 동향
-성능이 개선된 새로운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등장에 따라 PC의 성능은 계속 향상
-8-비트, 16-비트, 32-비트 CPU 사용으로 단어 길이 증가
64-비트 단위의 데이터 처리 및 기억장치 주소 사용 PC들도 출시 중
-프로세서가 다수의 명령어 실행 유니트들 혹은 CPU 코어들을 포함하는 슈퍼스칼라, 듀얼-코어 및 멀티-코어 구조로 발전
-칩의 집적도가 높아지면서 주변 요소들이 CPU 칩 내부에 포함됨에 따라, 속도와 신뢰도가 크게 향상
-GPU(Graphic Processing Unit)2를 계산보조장치로 사용함으로써 고속 그래픽 처리뿐 아니라 복잡한 과학기술 계산들도 높은 속도로 처리할 수 있게 됨
-주기억장치와 보조저장장치의 용량 증가, 종류 다양화
종류(유형)
-데스크탑(Desktop)컴퓨터, 노트북(Notebook) 컴퓨터, 넷북(Netbook), 태블릿(Tablet)PC, 포켓(Pocket) PC 등
플롭스)플롭스(FLOPS,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는 컴퓨터의 성능을 수치로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는 단위이다. 초당 부동소수점 연산이라는 의미로 컴퓨터가 1초동안 수행할 수 있는 부동소수점 연산의 횟수를 기준으로 삼는다. 상위 단위와 하위 단위로 국제단위계의 표준 접두어를 사용하며, 슈퍼 컴퓨터의 성능을 나타낼 경우에는 테라플롭스(1×1012 플롭스)가 주로 쓰인다.
페타플롭스(PetaFlops)는 1초당 1,000조번의 수학 연산처리를 뜻하는 말로써 줄여서 페타플롭(PetaFlop) 또는 피플롭(PFLOP)이라고도 한다. SI(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국제단위계)에서 10의 15제곱을 나타내는 접두어 페타(Peta)와 초당 수행 가능한 부동소수점(浮動小數點)의 연산횟수를 가리키는 컴퓨터 성능 단위 플롭스(Flops)를 합성한 신조어이다. 1페타플롭스 프로세서를 장착한 컴퓨터는 펜티엄133Mz 프로세서보다 1억배 빠른 연산처리속도를 갖는다.
- 파이프라인 슈퍼컴퓨터(Pipeline Supercomputer)
-초기의 슈퍼컴퓨터 구조
-복잡한 초고속 연산회로들이 포함된, 적은 수의 CPU들로 구성
-연산장치: 슈퍼파이프라인 구조를 이용하여 고속 벡터 계산 수행
-대표적인 시스템들: CRAY Y-MP, CRAY_2, Fujitsu VP2000, VPP500 등
- 대규모 병렬 컴퓨터(Massively Parallel Computer:MPP)
-상호연결된 수백 혹은 수천 개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들로 구성
-프로세서들이 하나의 큰 작업을 분담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 기술 이용
-시스템 사례: IBM BlueGene/Q 슈퍼컴퓨터-2018년 11월 국제공인 슈퍼컴퓨터 TOP 500 리스트(www.top500.org) 최상위 랭크
- 1,572,864개의 64-비트 PowerPC 프로세서들 탑재
- 속도: 20PFLOPS, 기억장치: 1.57 PByte
- 96 캐비닛 x 512 노드 x 32프로세서
- 클러스터 컴퓨터(Cluster Computer)
-고속 LAN이나 네트워크 스위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 PC들 혹은 워크스테이션들의 집합체
-클러스터 미들웨어(Cluster Middleware)를 이용하여 노드(단위 컴퓨터)들에 포함된 모든 자원들을 단일 시스템 이미지(Single System Image:SSI)로 통합
-저렴한 가격으로 고성능 고신뢰 병렬 컴퓨팅 환경 구축 가능
-대형 웹서버 및 슈퍼컴퓨터 설계 개념으로 널리 사용중
개발자로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된 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