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정리 - DB 설계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HTML 태그 정리 (2025.02.10)

수아·2025년 2월 10일
0

학습 정리

목록 보기
22/51
post-thumbnail

회고 리스트

1. 아래의 용어를 설명하시오.

  • 엔티티 (Entity)
    :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할 수 있는 객체 또는 개체를 의미
    : 명사를 그룹지어서 대표되는 단어

  • ER (Entity-Relationship)
    : ER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엔티티(Entity)와 엔티티 간의 관계(Relationship)를 표현하는 방법
    : 주로 ER 다이어그램(ERD, ER Diagram) 형태로 시각화
    : 엔티티(사각형), 애트리뷰트(타원), 관계(마름모) 등의 도형을 사용

  • 애트리뷰트 (Attribute)
    : 엔티티가 가지는 속성(특성)
    : 엔티티를 설명하는 정보의 항목

2. dB 설계시 4가지 절차는?

1) 요구사항 분석
: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전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단계
: 어떤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는지 파악하고 비즈니스 룰(Business Rule) 을 정의하며 필요한 데이터를 정리한다.
: 결과물은 요구사항 명세서이다.

2) 개념적 설계 (Conceptual Design)
: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ER 모델(ERD) 을 작성하는 단계
: 엔티티(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등을 정의하며 기술적인 요소(DBMS 등)는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모델을 만든다.
: 결과물은 ER 다이어그램(ERD)이다.

3) 논리적 설계 (Logical Design)
: 개념적 설계를 DBMS에서 구현할 수 있는 관계형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는 단계
: 정규화(Normalization)를 통해 중복을 제거하고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설계하고 테이블, 속성, 기본 키/외래 키, 관계 등을 구체적으로 정의한다.
: 결과물은 논리적 데이터 모델(테이블 스키마 설계)이다.

4) 물리적 설계 (Physical Design)
: 논리적 설계를 실제로 구현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 DBMS(MySQL, PostgreSQL 등)에 맞춰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고 인덱스, 파티션, 트랜잭션 등을 고려한다.
: 성능 최적화를 위해 인덱스(Index), 저장소 구조, 분산DB 구성 등을 설계한다.
: 결과물은 물리적 데이터 모델(SQL 스키마, 인덱스 설정, 성능 튜닝 계획)이다.

3. 개념적 설계 절차는?

1) 명사 정제하기
2) 명사 그룹짓기
3) 엔티티 추출하기
4) 엔티티에 대해 정의 내리기
5) 엔티티 표기하기
6) 카디날리티(Cardinality) 설정
: 엔티티 간의 관계 유형을 정의하고 대응수를 정한다.
7) 애트리뷰트 결정하기
8) 애트리뷰트 유형 재정리
9) 관계 정의 및 추가 요구사항 반영

4. 카디널리티의 개념과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카디널리티(Cardinality)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엔티티(Entity) 간의 관계에서 한 엔티티가 다른 엔티티와 가질 수 있는 연관된 개수(대응 수)를 의미한다.
하나의 엔티티가 다른 엔티티와 얼마나 연결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 일대일(1:1) : 한 엔티티가 다른 엔티티의 하나의 개체와만 연결
  • 일대다 (1:N) : 한 엔티티가 다른 엔티티의 여러 개체와 연결
  • 다대다 (M:N) : 한 엔티티가 다른 엔티티의 여러 개체와 연결 (중간 테이블 필요)

html

1. 블록 태그와 인라인 태그에 대하여 설명하고 해당 태그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1) 블록 태그 (Block Tag)

: 한 줄을 전부 차지하며 자동으로 줄바꿈이 발생한다.
: 내부에 다른 블록 요소나 인라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 주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요소로 사용된다.
: p 태그에는 위아래 마진이 있다.

2) 인라인 태그 (Inline Tag)

: 자신이 필요한 만큼만 공간을 차지하며 줄바꿈이 자동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 블록 태그 안에서 사용되며 주로 텍스트나 작은 요소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 블록 요소를 포함할 수 없고 다른 인라인 요소만 포함 가능하다.


3줄 요약
1. DB 모델링 순서는 요구사항 분석 -> 개->논->물이다.
2. 각태그 에는 디폴트 마진과 디폴트 폰트크기 및 디폴트 값이 있다.
3. 태그에는 인라인 태그와 블록태그로 나눌수 있다.

오늘은 거의 오전 수업만 하고 오후엔 프로젝트 발표가 있었다.
나 이제 12시에 잘 수 있어...
드디어 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