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기능을하는 코드 덩어리로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똑같은 코드를 여러 번 작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function 함수이름(매개변수1,매개변수2){
실행문
}
function add(num1,num2){
document.write(num1+num2);
}
add(1,2);
위에 함수는 add라는 이름을 갖고 num1과 num2를 매개변수로 가지는 함수로
num1+num2의 값을 띄워주는 기능을 하고있다.
function add(num1,num2){
return num1+num2;
}
var result=add(1,2);
return구문을 가지는 함수를 변수와 함깨 호출하게되면, 그 변수에는 return구문의 값이 저장된다. 예시에서는 result변수에 3이 저장된다.
function multiply(num1, num2){
return num1 * num2;
}
var multiplyNums = multiply;
document.write(multiplyNums(2,3));
var multiplyNums=multiply; 라고 선언했는데 이는 바로 multiplynums라는 변수에 multiply라는 함수를 저장한 것으로 당장은 사용을 많이 안하지만 추후엔 꽤 자주 사용하게 될것이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head>
<body>
<button onclick=btclick()>전광판 버튼</button>
<h1 id="printId"></h1>
<script src="8.js"></script>
</body>
</html>
var str="코드메이트!";
var lenId=0;
var Id="";
function btclick(){
if (lenId < str.length){
var h1=document.getElementById("printId");
Id+=str[lenId++];
h1.style.color="#"+Math.round(Math.random()*0xffffff).toString(16);
h1.innerHTML=Id;
}
}
글자색을 랜덤으로 바꾼것은 "#"+Math.round(Math.random()*0xffffff).toString(16); 으로 바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