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 이사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고, 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거나 다중화 하는 저장 기술로, 구현된 기술에 따라 다음과 가이 레벨(Level)로 구분한다.
RAID 0
스트라이핑(Stripping)이라고 불린다.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디스크의 개수만큼 용량과 속도가 배로 증가한다.
하나의 디스크만 손상되어도 전체 데이터가 파손된다.
RAID 1
미러링(Mirroring)이라고 불린다.
같은 데이터를 다른 디스크에 동일하게 복사하는 방식이다.
RAID 2~4
하나의 디스크에 오류 정정 부호를 비트(RAID 2)/ 바이트(RAID 3)/ 워드(RAID 4) 단위로 저장하고, 나머지 디스크는 RAID 0과 같이 활용하여 안정성을 높인 모드이다.
하나의 디스크가 손상되어도 정상 가동이 가능하며 최소 3개의 디스크가 필요하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에 치명적인 손실이 발생했을 떄 이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내용이나 이용 상황 등 상태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한 로그를 생성한다.
REDO
데이터베이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디스크에 저장된 로그를 분석하여 트랜잭션의 start와 commit에 대한 기록이 있는 트랜잭션들의 작업을 재작업한다.
즉, 로그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항목에 대한 이전 값을 이후 값으로 변경하는 연산이다.
UNDO
데이터베이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디스크에 저장된 로그를 분석하여 트랜잭션의 시작을 나타내는 'start'는 있지만 완료를 나타내는 'commit'기록이 없는 트랜잭션들이 작업한 내용들을 모두 취소한다.
즉, 로그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항목에 대해 이후 값을 이전 값으로 변경한다.
이상(Anomaly)이란 데이터베이스 내에 데이터들이 불필요하게 중복되어 릴레이션 조작 시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곤란 현상을 의미한다.
삽입 이상(Insertion Anomaly)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이 원하지 않은 값들로 인해 삽입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이다.
삭제 이상(Deletion Anomaly)
테이블에서 튜플을 삭제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는 값들도 함께 삭제되는 현상이다.
갱신 이상(Update Anomaly)
테이블에서 튜플에 있는 속성 값을 갱신할 때 일부 튜플의 정보만 갱신되는 현상이다.
def func(x, y=4):
print('a =', x, 'b =', y)
func(10)
출력 : a = 10 b = 4
pop(index)
리스트의 index에 있는 값을 출력하고 해당 요소를 삭제한다.
extend(list)
리스트의 끝에 새로운 리스트를 추가하여 확장한다.
reverse()
리스트의 순서를 역순으로 뒤집는다.
index(값)
리스트에서 '값'이 저장된 요소의 위치를 반환한다.
count(값)
리스트에서 '값'이 저장되어 있느 요소들의 개수를 반환한다.
sort()
리스트를 정렬하며, 기본값은 오름차순이다. sort(reverse=true)를 이용하여 정렬 방식을 지정할 수 있다.
copy()
리스트를 복사한다.
기존의 무선 랜 보안 프로토콜인 WEP의 취약성을 보완한 데이터 보안 프로토콜로, 임시 키 무결성 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암호 알고리즘으리 입력 키 길이를 128비트로 늘리고 패킷당 키 할당, 키값 재설정 등의 키 관리 방식을 개선했다.
정적 분석 도구 (Static Analysis)
작성한 소스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코딩 표준이나 코딩 스타일, 결함 등을 확인하는 코드 분석 도구이다.
동적 분석 도구 (Dynamic Analysis)
작성한 소스 코드를 실행하여 코드에 존재하는 메모리 누수, 스레드 결함 등을 분석하는 도구이다.
인터페이스 구현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단위 기능과 시나리오 등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테스트가 필요하며, 통합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테스트 자동화 도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존재한다.
xUnit
테스트마다 예상 결과를 기어갈 필요가 없게 하는 자동화된 해법을 제공하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이다.
STAF
서비스 호출 및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이다. 크로스 플랫폼이나 분산 소프트웨어에서 테스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FitNesse
웹 기반 테스트 케이스 설계, 실행, 결과 확인 등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이다.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절차와 대책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정보보호 관리 체계를 평가하고 인증하는 사업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운영하고 있다.
키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튜플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기준이 되는 속성을 말한다.
기본키 (Primary Key)
후보키 중에서 특별히 선정된 주키(Main Key)이다. 기본키는 한 릴레이션에서 특정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이다.
슈퍼키 (Super Key)
한 릴레이션 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해 유일성을 만족한다.
후보키 (Candiate Key)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들의 부분 집합이다.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을 말한다.
후보키는 유일성과 최소성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목표 대상이 자주 방문하는 웹 사이트를 사전에 감염시켜 목표 조직의 일원이 웹 사이트에 방문했을 떄 악성 코드에 감염되게 한다.
이후에는 감염된 pc를 기반으로 조직의 중요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불능으로 만드는 등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웹 기반 공격이다.
출처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htm&logNo=221920533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