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개념 정리

SummerToday·2024년 3월 30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4/16
post-thumbnail

1. 관계해석

  • 관계 데이터의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성을 지닌다.


2. 암호화 알고리즘 - IDEA, Skipjack

  •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 스위스의 라이와 메시가 1990년에 개발한 PES를 개선한 알고리즘이다.

    • 블록 크기: 64비트, 키 길이: 128비트


  • Skipjack

    • NSA(국가 안전 보장국)에서 개발한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 클리퍼 칩이라는 IC 칩에 내장되어 있다.

    • 블록 크기: 64비트, 키 길이: 80비트


3. SQL - ALL

  • ALL

    • 하위 질의로 검색된 범위를 기본 질의의 조건으로 사용한다.

    • ex. SELECT ~ FROM ~ WHERE ~ > ALL (SELECT ~ FROM ~ WHERE ~ = ~);

      • 하위 SELECT문에서 검색된 요소들보다 큰 요소를 가진 요소들만 출력하게 된다.

4. SQL - COUNT

COUNT(A)일 때, A의 값이 NULL인 값은 COUNT() 함수에 집계되지 않는다.


5. VPN (Virtual Private Network)

  • 인터넷 등 통신 사업자의 공중 네트워크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치 자신의 전용 회선을 사용하는 것처럼 해주는 보안 솔루션이다.

6. 객체지향 설계 원칙 (SOLID)

출처 : https://devinus.tistory.com/13


8. 구조체

구조체의 멤버에 접근할 때는 '구조체_변수.멤버'로 접근한다.


9. 서브네팅(Subnetting)

IP가 ~.~.~.~일 때 ~ 한덩어리당 256개의 IP할당 가능.

  • ex.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192일 때 마지막 8자리를 2진수로 표현하자면 1100 0000이므로 256개의 호스트를 64개씩 4개의 네트워크로 나눠서 쓴다는 의미이다.

  • 네트워크별로 첫번째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마지막 주소는 브로드캐스트 주소이다.

cf. 출처 : https://youngkyonyou.github.io/network/2022/02/05/Network-SubnetMask-02.html


10. 인수 테스트 - 알파 테스트, 베타 테스트

  • 베타 테스트
    선정된 사용자가 여러 명의 사용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기법으로, 실제 업무를 가지고 사용자가 직접 테스트한다.

  • 알파 테스트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개발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기법으로, 테스트는 통제된 환경에서 행해지며, 오류와 사용상의 문제점을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꼐 확인하면서 기록한다.


11. 회귀 테스트 (Regression Test)

  • 통합 테스트로 인해 변경된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새로운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이다.

  • 이미 테스트된 프로그램의 테스팅을 반복하는 것이다.


12. 관계 대수식

  • π : Project (추출)

  • 위 식은 'EMPLOYEE 테이블에서 TTL 속성만을 추출해라'라는 의미이다.


13. 파이썬

A = "B AND %s" % "C"
B = " AND D"

  • 다음식의 print(A+B)의 결과는 B AND C AND D이다.

14. 제어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 IGP, EGP, BGP

경로 제어 프로토콜은 크게 자율 시스템 내부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IGP와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EGP로 구분할 수 있다.

  •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하나의 자율 시스템(AS)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리며, 최단 경로 탐색에 Bellman-Ford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소규모 동종의 네트워크 내에서 효율적인 방법이다.

    • OSPF (Open Shortest Path Protocol)
      RIP의 단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된다.
      최단 경로 탐색에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BGP (Border Gateway Protocol)
      EG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로, 처음 연결될 때는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고, 이후에는 변화된 정보만을 교환한다.

17. 자바

배열 루프 돌 때 몇 번 도는지 잘 확인하기.
ex. for(int i=1; i<5; i++) -> 1~4 까지 루프 반복.


18. 함수적 종속 (Functional Dependency)

함수적 종속이란, 어떤 릴레이션 R이 존재할 때 X와 Y를 각각 R의 속성 집합의 부분 집합이라 할 때, 속성 X의 값을 알면 Y의 값을 식별할 수 있고, X의 값에 따라 Y의 값이 달라질 때 Y는 X에 함수적 종속이라고 한다. 해당 경우 X를 결정자, Y를 종속자라고 하고, 이를 기호로 표현하면 X->Y로 나타낼 수 있다.
함수적 종속 관계에는 완전 함수적 종속, 부분 함수적 종속, 이행적 함수 종속이 존재한다.

  • 완전 함수적 종속 (Full Functional Dependency)
    종속자가 기본키에만 종속되며, 기본키가 여러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기본키를 구성하는 모든 속성에 종속된 경우이다.

  • 부분 함수 종속 (Partial Functional Dependency)
    릴레이션에서 종속자가 기본키가 아닌 다른 속성에 종속되거나, 기본키가 여러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 중 일부만 종속되는 경우이다.

  • 이행 함수 종속 (Transitive Functional Dependency)
    릴레이션에서 X, Y, Z라는 3개의 속성이 존재할 때, X->Y이고 Y->Z일 때 X->Z를 만족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19. HTTP, Hypertext, HTML

  • HTTP
    월드 와이드 웹(WWW)에서 HTML 문서를 송수신 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GET과 POST 메서드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 Hypertext
    다른 문서나 그림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연결을 가지고 있는 텍스트를 의미한다.

  • HTML
    인터넷의 표준 문서인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이다.


20. 팬인(Fan-In), 팬아웃(Fan-Out)

  • 팬인 (Fan-In)
    어떤 모듈이 제어받는 상위 모듈의 수

  • 팬아웃 (Fan-Out)
    어떤 모듈이 제어하는 하위 모듈의 수

cf. 시스템의 복잡도를 위해 팬인은 높게, 팬아웃은 낮게 설계해야 한다.




해당 글은 다음 도서의 내용을 참고한 글임을 밝힙니다.
길벗알앤디, ⌜202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길벗, 2024, 368쪽
profile
블로그 이관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