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진 배열에 루프를 돌며 작업을 할 시, 한 루프를 돌 때 배열의 어느 범위만큼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기. 루프를 돌며 발생하는 규칙성 확인하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이다.
순수 관계 연산자
Select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 중에서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의 부분집합을 구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이다.
Project
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 리스트(Attribute List)에 제시된 속성 값만을 추출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이다.
Join
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두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에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이다.
Division
X⊃Y인 두 개의 릴레이션 R(X)와 S(Y)가 있을 때, R의 속성이 S의 속성값을 모두 가진 튜플에서 S가 가진 속성을 제외한 속성만을 구하는 연산이다.
일반 집합 연산자
합집합 (UNION)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합집합을 구하되, 결과로 생성된 릴레이션에서 중복되는 튜플은 제거되는 연산이다.
교집합 (INTERSECTION)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교집합을 구하는 연산이다.
차집합 (DIFFERENCE)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차집합을 구하는 연산이다.
교차곱 (CARTISIAN PRODUCT)
두 릴레이션에 있는 튜플들의 순서쌍을 구하는 연산이다.
네트워크별로 첫번째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마지막 주소는 브로드캐스트 주소이다.
DINSTINCT는 중복된 값들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옵션이다. 하지만 DINSTINCT COUNT(~), 해당 경우에서는 COUNT 함수 자체에 DISTINCT 옵션이 적용되기 때문에 중복값이 없어 DISTINCT가 적용이 되지 않는다.
COUNT 집계 함수 내의 칼럼에 DISTINCT가 붙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사회 공학
컴퓨터 보안에 있어서, 인간 상호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시스템 침입 수단이다.
다크 데이터
특정 목적을 가지고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나, 이후 활용되지 않고 저장만 되어 있는 대량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람다식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수학 식으로 표현한 것을 람다 식(Lambda Expression)이라고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람다 식은 수학적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나 메소드를 간소화할 때 사용한다.
형식
lambda 변수명 : 수학식
변수명 : 인수로 전달받은 값을 저장할 변수의 이름을 지정한다.
수학식 : 수행할 연산을 하나의 식으로 풀어 입력한다.
예시
def func(x) :
return x * x -3
print(func(10))
위의 식을 람다 식으로 수정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unc = lambda x : x + x -3
print(func(10))
map(function(),list|tuple)
첫번째 매개변수로는 두번째 매개변수로 들어온 list의 요소들에 적용할 함수를 받는다.
두번째 매개변수로는 반복 가능한 자료형(리스트, 튜플, ...)을 받는다.
따라서 두 번째 인자로 들어온 반복 가능한 자료형 (리스트나 튜플)을 첫 번째 인자로 들어온 함수에 하나씩 집어넣어서 함수를 수행하게된다.
또한 map 함수의 반환 값은 map객체 이기 때문에 해당 자료형을 list 혹은 tuple로 형 변환시켜주어야 한다.
복수개의 리스트의 요소들을 출력할 때는 [a, b, c, ...] 형태로 출력 된다.
list[-1]과 같이 출력할 떄에는 대괄호 없이 개별 요소만 출력된다.(맨끝의 요소만 출력)
다양한 장비에서 발생하는 로그 및 보안 이벤트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빅 데이터 기반의 보안 솔루션이다.
장기간의 로그 및 보안 이벤트를 수집 및 검색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통합 로그 수집 시스템이다.
형상 관리(SCM: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는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활동이다.
대표적인 형상 관리 도구에는 Git, SVN(Subversion), CVS(Concurrent Version System) 등이 존재한다.
비교적 적은 수의 루프를 돌면서 직접 해당 조건에 맞는 수를 찾는 문제이다. 해당 문제 같이 직접 일일이 조건에 맞는 수를 찾는 경우에는 루프 횟수가 비교적 적으며, 조건이 비교적 간단히 주어진다.
해당 문제 같은 경우에도 루프를 몇번 돌며 주어진 조건의 규칙성을 찾으면 훨씬 답을 찾기가 수월해진다.
Trustzone
칩 설계 회사인 ARM에서 개발한 기술이다.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 일반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일반구역과 보안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보안 구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기술이다.
타이포스쿼팅 (Typosquatting)
네티즌들이 사이트에 접속할 때 주소를 잘못 입력하는 실수를 이용하기 위해 이와 유사한 유명 도메인을 미리 등록하는 것이다.
URL 하이재킹(Hijacking)이라고도 한다.
워터링 홀 (Watering Hole)
스머핑 (SMURFING)
한 번의 로그인으로 개인이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요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우선 순위 계산식 = (대기 시간+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UML은 시스템 분석, 설계, 구현 등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시스템 개발자와 고객 또는 개발자 상호 간의 의사소통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표준화한 대표적인 객체지향 모델링 언어로, 사물, 관계, 다이어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물(Things)
다이어그램 안에서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대상이다. 구조 사물, 행동 사물, 그룹 사물, 주해 사물 등이 존재한다.
관계(Relationship)
사물과 사물 사이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연관, 집합, 포함, 일반화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다이어그램(Diagram)
사물과 관계를 도형으로 표현한 것이다. 클래스 다이어그램, 객체 다이어그램,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배치 다이어그램, 복합체 구조 다이어그램, 패키지 다이어그램 등이 존재한다.
클래스
UML에 표현되는 사물의 하나로, 객체가 갖는 속성과 동작을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표현하며, 직사각형 안에 이름, 속성, 동작을 표기한다.
인터페이스
UML에 표현되는 사물의 하나로, 클래스나 컴포넌트의 동작을 모아놓은 것이며, 외부적으로 가시화되는 행동을 표현한다.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없으며, 인테페이스 구현을 위한 클래스 또는 컴포넌트와 함께 사용된다.
데이터를 객체(Entity), 관계(Relationship), 속성(Attribute)으로 묘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