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으로 var를 사용해 왔지만 ES6 이후, let과 const로 좀 더 세분화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
var myName = "Euna";
console.log(myName);
myName = "BTS";
console.log(myName);
//결과
//"Euna"
//"BTS"
let myName = "Euna";
console.log(myName);
myName = "BTS";
console.log(myName);
//결과
//"Euna"
//"BTS"
const myName = "Euna";
console.log(myName);
const yourName = "BTS";
console.log(yourName);
myName = "RM";
console.log(myName);
//결과
//"Euna"
//"BTS"
//⚠️에러 발생!!
const는 상수! 한 번만 정의할 수 있다.
ES6 이후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생성하는 구문으로 화살표 함수가 추가되었다.
//일반적으로 함수를 생성하는 방법
function myFnc(){
...
};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여 함수를 생성하는 방법
const myFnc = () => {
...
};
//✅ 일반 함수
function printMyName(name){
console.log(name);
};
printMyName("Euna");
//✅ 화살표 함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const(상수)에 printYourName이라는 이름을 정의하면 된다.
const printYourName = (name) => {
console.log(name);
};
printYourName("BTS");
//📚 화살표 함수에서 인수를 하나만 받는 경우: 주변 () 괄호는 생략할 수 있다.
const printOneArg = name => {
console.log(name);
};
printYourName("one");
//📚 많은 경우 함수는 뭔가를 반환하는데,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반환하면 된다.
const multify = (number) => {
return number * 2;
}
console.log(multify(2));
/*👆 이 경우 함수의 본문에서 하는 일은 반환(return)뿐,
다른 코드가 없기 때문에 중괄호를 생략하고 코드를 한줄로 작성할 수 있다.
*/
//📚 코드를 한줄로 표현할 때는 return 키워드는 제거하고 작성한다.
const multify2 = number => number * 2;
console.log(multify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