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pip 사용이 되지 않는 분들을 위한 글이지 읽지 않으셔도 됩니다.
더하여, \가 window환경이라면 원화 표시로 보이실 텐데, 이게 백슬래쉬( /의 좌우반전 모양 )과 똑같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pip 명령어를 사용하기 전에 pip이 무엇인지 알고 사용하자.
pip는 *Package Installer for Python의 약자로, 어떻게 보면 이게 pip의 정의로는 충분하다.
pip: Package Installer for Python
그런데 패키지는 무엇일까?
여기서 말하는 패키지는 매우 간단하다. 프로그램의 기능 구현 단위는 보통 함수(function)로 시작한다. 함수가 모이면 모듈이 되고, 그 모듈이 모이면 패키지라고 부른다. 물론 각각에 더 많은 설명을 부여할 수 있지만, 이 관계는 어느 곳에서나 공통적이다.
함수(function) < 모듈(module) < 패키지(package)
만약 당신의 컴퓨터에 python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라면, 그 폴더 안에 pip도 함께 있을 것이다. 다만, 위키백과의 서술에 따르면 2.7.9 버전과 3.4 버전 이후로 기본 포함이라고 하니, 그 이전 버전에도 있는 지는 의문이다.
아무튼 pip의 설치 경로(pip이 설치된 위치)는 다음과 같다.
C:\Users\<user_name>\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version>\Scripts
<user_name>은 컴퓨터 사용자 본인의 이름이다. 윈도우 + E 키를 눌러 파일 탐색기에 들어가면, 상단부터 폴더 경로(디렉터리) 막대가 있을 것이다. 좌측의 아랫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화살표로 가리키는 곳이 <user_name> 부분이다.
<version>부분은 만약 3.10.2버전이라고 한다면 310가 들어가고, 3.9.4버전이라고 한다면 39가 들어간다. 이후 차례로 찾아가서 들어가면 된다.
파일 탐색기에서 경로를 복사하는 방법은 파일 탐색기의 경로 부분을 마우스 우클릭하면 "경로를 텍스트로 복사"할 수 있다.
이걸 알려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실상 이 포스팅의 목적이다.
이 에러의 원인은 보통 둘 중 하나이다. (클릭하면 해당 부분으로 바로 넘어간다.)
아래 내용은 안봐도 된다. Python 설치에서 이어지는 부분일 뿐, 앞으로 배우는 내용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환경 변수란 무엇일까?
위키피디아(Wikipedia)는 환경 변수를
환경 변수는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이게 무슨 뜻일까.
기억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본인이 프로그램을 실행하지만 실제로는 운영체제(OS)가 그 프로그램을 실행해준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설치해둔 파이썬을 직접/간접 실행해본다고 하자.
직접 실행한다는 말은 IDLE가 설치된 경로에 직접 가서 실행하거나 IDLE를 가리키고 있는 바로가기를 실행한다는 말이다.
간접 실행한다는 말은 직접 실행의 반대를 말한다.
시작에서 IDLE를 검색한 뒤에 파일 위치를 열어본다.
막상 들어갔더니 보이는 것은 "실행파일"이 아니라 "바로가기"이다.
바로가기가 무엇을 가리키고 있는지 보도록 하자.
우클릭 -> 속성에 들어가면 대상(T)라는 항목이 보일 것이다. 이것이 바로가기가 가리키고 있는 정확한 파일 혹은 그 경로이다.
대상이 경로라면 해당 경로로 이동하고, 파일이면 실행하게 된다.
대상이 위치한 경로까지 이동해서 실행해도 되지만, 너무 길어지니 바로가기를 더블클릭해서 대상을 실행해보자. 아마 문제 없이 실행될 것이다.
위와 같이 우리(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로로 가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이미 설치가 되어 있는 경로에서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실행했기 때문에 OS도 이 프로그램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OS도 문제 없이 실행할 수 있다.
.
.
.
그런데 만약 cmd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실행해보자.
원래는 cmd에서도 직접 경로로 이동해서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위의 사진은 어디로 경로를 이동하지도 않고 단지 Python을 입력한 것만으로 파이썬이 실행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안 된다면 다음 사진으로)
도대체 OS는 파이썬이 어디에 있는 줄 알고 실행한 걸까.
OS는 이때 환경 변수 중 Path를 참조하여 Python을 실행한 것이다.
즉, 환경 변수라고 하는 것은 OS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참조하는 변수이다. Path에는 경로가 변수로 저장되는 것이다.
참고로, 정확히 말하면 프로그램이 아니라 프로세스가 정확한 표현이지만
둘의 관계를 배우지 않은 지금으로서는 더 익숙한 표현으로 설명했다.
Python 설치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한 이유가 다음과 같다.
만약 체크하지 않았다면 cmd에서 Python 명령어는 실행되지 않았을 것이다. 또 번거롭게 추가해야 된다... 추가하는 방법은 1-1. Add Python ~ to Path에 나와 있다.
환경 변수란 OS가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참조하는 변수이다.
Path는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경로를 저장하고 있는 환경 변수의 일종이다.
앞서 pip이 설치되는 경로를 보여주었는데,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그런데 만약 pip의 경로를 찾는데 pip이 없는 경우라면 아래와 같이 pip을 설치해서 해결한다.
환경 변수를 추가하는 방법은 위와 동일하다. 다만 새로 만들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Users\<user_name>\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version>\
잘 보면 pip을 환경 변수에 등록할 때에서 Scripts\만 뺐다는 걸 알 수 있다.
pip은 cmd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지만 동시에 python으로 작성된 파일이기도 하다.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curl https://bootstrap.pypa.io/get-pip.py -o get-pip.py
작성자는 이미 설치가 되어있을 뿐더러 사진으로 보여줄 만한 내용이 없어서 이제부터는 글만 읽고 따라오면 됩니다.
혹시 설치 도중에 무언가 묻고 있다면 그냥 엔터 누르시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다음 커맨드를 입력합니다.
3.1 python2 버전 사용자의 경우 (python 2.x.x)
python2 get-pip.py
3.2 python3 버전 사용자의 경우 (python 3.x.x)
python3 get-pip.py
3.3 작성자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최신 버전의 경우로 알고 있는데 확신이 없네요ㅠ
py get-pip.py
참고:
pip
Pythin PIP
PIP 명령어 정리
'pip'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파일이 아닙니다.(1)
'pip'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파일이 아닙니다.(2)
Installation
[Python] pip 개념 및 설치 방법(pip, pi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