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ccount(계정)
1.1 계정이란?
- 기업 재산이 어떠한 항목이 어떻게 변동 되었는지 구분하고 기록하고 계산하는 단위
- 현금, 예금, 미수금, 선급금, 상품, 원재료, 토지, 건물, 자본금 등
1.2 SAP Account Type(5가지)
-
S : G/L 계정(General Ledger Account)
-> 총계정원장에 포함되는 전통적인 회계의 계정 과목/코드
※ ledger : (은행·사업체 등에서 거래 내역을 적은) 원장

-
D : Customer(판매 거래처, 채권)
-> FD01, FD02, FD03
-
K : Vendor(구매 거래처, 채무)
-> FK01, FK02, FK03
-
A : Asset(고정 자산)
-> AS01, AS02, AS03, AS05(잠금)
-
M : Material(재고 자산)
※ T-Code : 1은 등록, 2는 갱신, 3은 조회
1.3 SAP Account 특징
- 계정 유형(Account Type)별로 계정 마스터가 존재, 마스터에 회계 계정이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Sub-ledger(Subsidiary ledger : 보조 원장)의 원장 관리 진행
※ Sub-ledger
: 총계정원장의 일부 계정과 관련된 거래 내역을 세부적으로 기록하는 장부
=> 총계정원장의 기록을 보충
- Account Type D,K,A인 코드를 계정 코드인 것처럼 기표를 하면, 그와 연결이 되는 계정코드(G/L Account)는 자동으로 결정되는 방식
2. 원가 요소(Cost Element)
- FI에서는 계정, CO에서는 원가 요소라고 표현
※ S/4 HANA로 변경됨에 따라 CO/FI의 경계가 무너지긴 했지만 아직도 개념은 따로 존재
- FI의 계정과 동일하나, 일반적으로 원가요소는 손익 계정(수익, 비용)만 존재.
- 보통 원가 또는 비용 계정을 의미.
- G/L Account내에서 G/L Account Type과 Cost Element Category(원가요소범주) 속성을 통해서 관리하고 있음.

- Cost Element Category를 1번으로 지정한 경우 비용 요소로 등록됨.
1차 원가 요소
- FI 전표가 발생할 때 CO에도 동시에 발생하는 수익/비용을 의미.
- 1차 원가 요소를 하나 생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FI에서 먼저 계정(Account)를 생성해야함
-> FI/CO 모두 동일한 손익 계정을 사용하기 위함
2차 원가 요소
- CO에서만 사용하는 원가 요소를 의미
- 배부(Allocation), 정산(Settlement)의 결과를 각 CO Object에 반영(Posting)하기 위해 사용
- CO Object에만 반영되며, 시산표에는 반영되지 않는 것이 원칙(예외 존재 가능)
수익 요소(Revenue Element)
- Cost Element Category를 11(매출), 12(매출 차감)등으로 지정한 경우 Profitability Analysis(수익성 분석, CO-PA)와 연관이 됨.
-> 수익성 세그먼트 입력이 필수가 됨.
- 일반적으로 11의 경우 SD의 billing(대금 청구)를 통해 CO-PA에 반영 됨.
3. 기업 거래의 기록 과정

1. 회계 거래 발생
2. 분개장에 거래 정보를 분개
3. 분개장 정보를 통해 총계정원장 작성 (전기)
4. 총계정원장을 바탕으로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작성
[용어 정리]
- 분개 : 회계 거래를 발생 시간에 따라 차변과 대변에 기록하는 행위
- 전기 : 분개된 분개장의 내역을 계정별로 정리하는 행위
4. 총계정원장
- 각 계정과목별 변동 내역을 정리한 장부
- 기업 회계에 관련된 모든 계정(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을 기록한 문서
- 기업의 거래를 계정 단위로 기록하여 회사의 재무 상태의 틀을 제공
- 실무에서는 회계원장이라고도 함
※ 총계정원장 작성시, 분개장의 상대되는 계정 과목을 기입함
-> 증가액은 차변에, 감소액은 대변에 기입
-> 분개한 내용을 총계정원장에(각 해당 계정에) 옮겨 적는 절차를 전기(Posting)이라고 함.
총계정원장을 왜 사용하는가?
- 각 계정과목의 증감을 추적, 현재의 잔액을 정확하게 반영
- 회사의 재무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필요한 재무 분석 및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데 도움.
-> 분개장(아래 이미지)을 보면 각 계정과목에 대한 변동을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움

-> 총계정원장(아래 이미지)을 보면 각 계정과목의 변동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기 용이해짐.

"근데 사실 위의 이미지는 계정별원장(현금)임"
※ 계정별원장 : 총계정원장의 내용을 계정별로 분류한 장부

위의 이미지에서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별로 따로 보면 계정별원장이 되는거고 모든 계정을 다 보면 총계정원장이 되는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