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sk에서 DB를 연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하지만 오늘은 Mysql을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Flaks에서 Mysql을 연결하는 방법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한다.그 라이브러리는 바로 SQLAIchemy이다.SQLAlchemy에서 MySQL을 사용하기 위해
Flask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의문점이 생겼다.도대체 Flaks와 Django의 차이점은 무엇일까?그래서 한번 알아보았다.Django와 Flask는 Web Framework 이고 Python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Django - Full-stack Fra
플라스크(Flask)는 2004년 오픈소스 개발자 아르민 로나허(Armin Ronacher)가 만든 웹 프레임워크다. 플라스크는 아르민 로나허가 만우절에 장난삼아 던진 아이디어였는데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져 서비스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플라스크는 장고(Django)와 더
DB를 실시간으로 Query를 추적, 모니터링 하는 방법.즉, log를 직접적으로 볼 수 있다.log를 직접 확인 가능하면?버그 수집 및 트래킹.롤백 및 대응 등에 대한 의사결정 판단의 근거로 활용.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 진단.Logger는 logging시스템의 진입
filter, exclude, get 과 같은 함수를 함께 사용하여 복잡한 조건 검색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쿼리 수를 줄여준다.Race condition을 회피할 수 있다. 쓰레드와 유사.python을 사용하지 않아도 DB에 접근 가능하다.F()는 각 저장마다 적
get()은 단일행을 조건으로 걸어 출력하는 반면, Filter는 조건에 맞는 여러 행을 출력한다. modle.objects.filiter() 타입은 QuerySet ex)
서비스 User를 확인하는 것이 토큰의 역할.즉, user_A 가 user_B 의 token을 가지고 있으면, 그 해당 유정의 해당 사이트에서의 행적들을 확인 할 수 있다.
인증이 필요한 이유 : 우리 서비스의 사용자 및 사용자 행동양식 파악을 위해서비밀번호가 중요한 이유 : 법규상의 강제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서DB에 저장 할때, 개인 정보를 해싱하여 복원할 수 없도록 한다.원래 해쉬함수는 자료구조에서 빠른 자료의 검색,데이터의 위변조
원하는 다이렉토리/폴더로 이동. 해당 폴더에 아래의 명령어 입력시, 해당 폴더에 git 프로젝트가 생성된다.Python 파일을 저장.git add . 으로 파일을 staging area로 이동.("." (점)을 입력하면 모든 파일을 업로드 된다.)git commit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기존의 직선구조의 글과 달리, 다각적으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체계전송한다라는 뜻.즉, 보내다, 받다 라는 특징이 있다.협약, 통신 규약 이라는 의미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컴퓨터 끼리 어떻게 HTML파
UI : (USER INTERFACE) 폰트, 칼라, 레이아웃과 같이 사용자가 마주하게될 시각적인 디자인.UX : (USER EXPERIENCE)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적으로 설계된 디자인.웹사이트 발전 이유 : 정보량 과다, 여러 디바이스들의 등장,
Dictionary의 경우, key와 value값이 존재한다.Set의 경우, key값만 존재한다.Dictionary는 key값은 immutalbe(변경할 수 없는) 형식이어야하고, value값은 mutable(변경가능) 형식도 가능하다.Set은 가변(mutable) 리
Print화면에 출력을 시키는 명령어Data TypesInteger : 정수 Float : 소수점 숫자Complex Numbers : 실수와 허수를 포함하고 있는 복소수허수를 표현할때 수학책에서는 대부분 i 를 썼겠지만 파이썬에서는 j를 사용.ex) 1+3j 가 com
1.데이터 처리(model과 orm) ->잘해야 view에서 안막힘 장고의 역할 파이썬을 장고로 통해 db테이블을 만들어준다.(makemigration) 파이썬으로 짠 클래스가 db로 맵핑해주는 것을 ORM이라고 한다. (즉, 파이썬 언어로 db
git 이란 version control system (vcs) 코드의 버전 관리 코드 버전관리를 하는 이유 수정할때 마다 파일을 새로 만들면 관리가 힘들기때문에 언제든 이전 버전의 코드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이력을 남기기 위해 ->잘못된 부분을 찾기 위해 하나의
default value parameter(위치 인수)와 가변 인수(variable length arguments) 위치 위치 인수(positional arguments)와 가변 인수(variable length arguments)의 위치를 참고 자료를 통해 조사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