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아한테크코스의 철학처럼 이번 경험에서 현업 개발자들의 고민과 해결 과정을 통한 배움을 혼자 갖는것이 아닌 모두에게 공유하고 같이 성장하고자 한다.😆

이번 글에서는 커스텀 예외(Custom Exception)를 가 무엇인지, 올바른 커스텀 예외 생성 방법에 대하여 써보았다.

이번에는 본격적인 예외 처리 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특히 throws와 try-catch 구문을 중심으로, 각각의 역할과 사용 시점을 설명한다.

이 글은 우아한테크코스의 테크니컬 라이팅을 목적으로, 프로그래밍을 어느 정도 경험했지만 예외(Exception) 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 작성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EC2에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겪었던 문제와 해결 과정을 정리한다.

최근 모잇지 서비스 운영중 우분투 서버에서 MongoDB 서비스를 재시작 하려는 중 생겼던 문제를 해결한 과정을 가볍게 써보았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수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우리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스프링은 어떻게 이 모든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걸까?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에서 서로 다른 로깅 전략이 필요했다. 그 이유와 설정을 알아보았다.

AWS EC2 인스턴스에 CloudWatch 에이전트를 설치하여 시스템 메트릭(CPU, 메모리, 디스크)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불변 객체를 만드는 네가지 습관인 private, setter 지양, final, 방어적 복사에 대해서 알아보자.😋

"static? 그냥 쓰는 거 아냐?" 우테코 레벨 1 인터뷰에서 한 방 맞고, 드디어 나만의 기준을 세웠다.

SpringSecurity 및 JWT 강의를 보며 소셜로그인을 구현중이였다. 우선 강의 내용을 실습을 통해 구현해보고, 현재 진행 중이던 팀프로젝트에 적용하면서 생겼던 문제들을 분석하고 해결했던 과정을 기록하고자 한다

길고도 긴 우아한 테크코스의 선별 과정이 끝났다.😊 10월~12월은 많은 일들이 있었던 기간이였고, 나의 경험과 솔직한 심정을 글을 통해 말해 보고자 한다.‼️

우테코 프리코스를 통해 객체지향적인 프로그래밍에 대해 많은 고민이 있었다! 그중 기억에 남은 몇가지를 정리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