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커 컨테이너는 도커 이미지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독립적인 프로세스높은 이식성: 어떤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실행 가능가벼움: 가상 머신보다 리소스 사용이 적음빠른 시작/중지: 게스트 OS 부팅 없이 빠르게 실행BORA (Build Once, Run Anywhere): 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자동화 플랫폼목적: 여러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배포, 확장, 관리특징여러 호스트에 걸쳐 컨테이너 관리 가능중앙 집중식 관리 제공다양한 컨테이너 런타임 지원 (도커, containerd, cri-o 등)구조마스터 노드: 전체 시스템 관

물리 머신에 로컬 쿠버테니스를 쉽게 구축하기 위한 도구brew install minikube 를 설치해 주자윈도우환경이라 미니큐브로 책에나온데로 설치하려했지만 실패 ㅠㅠhttps://docs.docker.com/desktop/install/windows-ins

쿠버네티스 환경: Google Kubernetes Engine(GKE), 일부 kind(Kubernetes in Docker)를 사용쿠버네티스 버전: 1.18.16-gke.2100(kind의 경우: 1.18.15)kubectl 버전: v1.18.16kubectl 설치약
워크로드 API 카테고리 개요 카테고리 개요 > 워크로드 API 카테고리 리소스 파드 (Pod)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Replication Controller) 레플리카셋 (ReplicaSet) 디플로이먼트 (Deployment) 데몬셋 (DaemonSet) 스테이트풀셋 (StatefulSet) 잡 (Job) 크론잡 (CronJob) ** 이유:...
서비스 API 카테고리 개요 > 쿠버네티스 리소스는 5가지 카테고리 워크로드, 서비스, 컨피그 & 스토리지, 클러스터, 메타데이터 API 서비스 API 카테고리는 컨테이너를 외부에 공개하는 엔드포인트를 제공하는 리소스 > 서비스 API 카테고리의 주요 리소스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것은 L4 로드 밸런싱을 제공하는 서비스 리소스와 L7 로드 밸런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