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 숫자열 구분 안 하고 값만 놓고 비교함
'문자열' / 숫자열 비교시, 숫자열을 자동으로 '문자열'로 변환해서 비교
개발자들은 대부분 == 사용 : 개발시, 숫자와 문자를 비교할 일이 거의 없어서
let num1 = 10 ; #숫자 10
let num2 = "10" ; #문자열 10
console.log(num1 == num2); 👉 True 뜸 : 자동으로 숫자를 문자로 형변환함
console.log(num1 === num2); 👉 False 뜸 : 문자열, 숫자 따로 봄
console.log(num != num2) ; 👉 False 뜸 : 자동으로 숫자를 문자로 형변환함
console.log(num !== num2) ; 👉 True 뜸 : 문자열, 숫자 따로 봄
true && true는 = true 반환
true && false는 false 반환
false && true는 false 반환
false && false는 false 반환
true || true는 true를 반환
true || false는 true를 반환
false || true는 true를 반환
false || false는 false를 반환
let x = true ;
let y = !x ; 👉 y는 false가 됩니다.
console.log(y); // 출력 결과: false
let a = false ;
let b = !a ; 👉 b는 true가 됩니다.
console.log(b) ; // 출력 결과: true
'같은 의미'를 가진 데이터를 묶어서 저장하는 공간
타입을 명시하지 않는다, 크기를 지정하지 않는다.
모든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크기가 동적으로 증가한다.
데이터를 조회할 때는 '인덱스 번호' 를 활용한다 !
let arr = [1,2,3,4,5] ;
let arr2 = ["김철수","박민지",10,true,[1,2]] ;
arr2[0] 👉 "김철수" 추출
[ ❗️ ] 특정 위치에 데이터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 대입을 이용하면 된다.
arr2[0] = "김짱구" ; 👉 ["김짱구","박민지",10,true,[1,2]] ;
[ ❗️ ] 배열의 크기(길이)를 알고 싶을 때
► .length 라는 '키값' 을 통해 구한다
arr2.length 👉 5
함수는 소괄로 () 로 특정 값을 받아와야해요.
변수 . 쌀라쌀라 👉 해당 변수(객체)의 쌀라쌀라에 진입(이용)하겠다.
= 객체의 키값을 가져오겠다는 거구나. [모든 언어 공통]
= 이름.Key 👉 객체형태의 데이터이다.
let arr = [1,2,3]
arr.push("데이터") ; 👉 [1,2,3,"데이터"]
① 소괄로가 있네? 함수다.
② 내가 데이터를 변수 마지막 값에 추가하고 리턴데이터를 받나? 👉 ❌
③ 아! 그럼 매개변수가 필요하겠구나 ! (소괄로 안에)
let arr = [1,2,3,"데이터"]
arr.pop() 👉 [1,2,3]
① 소괄로가 있네? 함수다.
② 내가 실행시, 리턴데이터를 받나? 👉 ⭕️ (제거된 값)
③ 아! 그럼 매개변수가 필요없겠구나 ! (소괄로 안에)
let arr = [1,2,"love"]
arr.includes("love") 👉 true 반환
① 소괄로가 있네? 함수다.
② 내가 실행시, 리턴데이터를 받나? 👉 ⭕️ (ture 또는 false)
③ 아! 그럼 매개변수가 필요없겠구나 ! 👉 ❌
④ true 또는 false 값을 리턴 받으려면, 내가 매개변수를 넣어야겠구나! 👉 ⭕️
let arr = [1,2,"love"]
arr.indexOf("love") 👉 인덱스 번호 2 반환
① 소괄로가 있네? 함수다.
② 내가 실행시, 리턴데이터를 받나? 👉 ⭕️ (인덱스 번호)
③ 아! 그럼 매개변수가 필요없겠구나 ! 👉 ❌
④ 인덱스 번호를 리턴 받으려면, 내가 매개변수를 넣어야겠구나! 👉 ⭕️
06.16 들렸다 갑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