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프로그래밍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비동기통신을 해줄 수 있음확장성과 호환성이 아주 좋음백엔드서버까지도 확장 해서 Node.js 라고 있음동기통신 : 페이지 갱신시, 전체가 새로고침 되는 비동기통신 : 페이지 갱신시, 일부만 새로고침 되는

변수를 남발하지 말자 🤓자바스크립트 초창기에 사용되던 변수 키워드단점 : 같은 이름의 변수 재선언이 가능(협업시, 변수명이 중복 되는 경우 발생)오픈소스나, api에서 변수명이 var로 대부분 되어있음 ❗ 재선언 vs 재할당재선언 : 이미 선언 된 변수를 중복으로

데이터가 할당 된 적이 없다 / 정의가 되지 않았다프론트에서 잘 못 된 데이터를 넘길 떄.백엔드에서 데이터를 잘 못 넘겼을 때.아! 데이터를 주고 받는 와중에 문제가 발생했구나 !(올바르게 통신이 안 되고 있구나 !)'없다' 의 의미를 가진 ★데이터★숫자로 바꿀 때,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함수 ( ≒ 파이썬 print )리턴데이터가 아님 !!

'문자열' / 숫자열 구분 안 하고 값만 놓고 비교함'문자열' / 숫자열 비교시, 숫자열을 자동으로 '문자열'로 변환해서 비교개발자들은 대부분 == 사용 : 개발시, 숫자와 문자를 비교할 일이 거의 없어서② === : 데이터타입, 값 모두 비교

모든 데이터(배열,함수,객체 등)을 담을 수 있는 만능 주머니객체 안에 객체를 담을 수도 있음 {} 안에 👉 키 : 밸류 형태로 작성한다객체의 특정 데이터를 조회할때는 반드시 👉 .key 변수(이름).key 값을 통해서 가져온다.index 로 조회 한다 !배열은

if, else if, else 순서로 작성한다.switch 로 작성하는 방법도 있다.포함관계를 잘 보려고 (가독성)그냥 써도 오류가 난다거나 그런건 없음파이썬에서 조건문의 끝맺음 후 : 쓰면,다음 문장의 경우 조건문 안에 포함 되어 있다는 의미로 들여쓰기가 된다.그거

길이(범위) 가 정해졌을 때 사용하는 반복문길이(범위) 👉 배열,순서가 있는, 인덱스 를 떠올리자 !비추천무한루프 걸릴시, 서버 통신의 경우 그게 디도스임잘 쓰면 뭐...break; 꼭 달아줘야함 !!false ► true 바꿀시, 무한반복 실행

✅ 중첩 for문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 된 '독립적인 블록'1) 코드의 재사용이 좋다2) 유지보수가 편리해진다 ❗ 전역함수, 지역함수전역함수 : 전체 범위에서 접근,활용 가능한 함수지역함수 : 특정 범위에서 접근,활용 가능한 함수전역함수와, 지역함수 범위를 잘 구분하

* DOM 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 웹페이지 콘텐츠,구조,스타일 요소를 구조화하여, 요소에 접근 및 동작 등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Web API JS같은 스크립트 언어가 쉽게 웹페이지에 접근,조작 할 수 있게 요소 객체와 연결해주
HTML 구조와 상관없이(텍스트를 숨긴다는 속성)해당 하는 요소의 모든 텍스트를 가져옴위 예시 보면, display:none; 했지만, 무시하고, 해당 요소 텍스트 다 가져옴실제로 눈에 보이는 텍스트만 반환실제로 보이지 않는(CSS 스타일 반영)렌더링 된 화면에 텍스트

웹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사건상호작용 : 이벤트 속성(이벤트 핸들러) 실행마우스 클릭, 키 입력, 페이지스크롤 등외우지 말고, 아 ! 이런게 있구나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시켰을 때👉 그 이벤트에 대응하여 처리하는 함수HTML요소에 직접 'on~'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객체어떤 요소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어떤 종류의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정보 포함\-별도로 매개변수를 선언하지 않아도, 이벤트 함수내에서 자동으로 전달\-상황에 따라서, 이벤트 객체(event,e)가 필요한 경우도 / 아닌 경우도 有

form 요소의 name 속성값을 통해 접근합니다.HTMLCollection 객체의 길이를 나타내며, 폼 내에 있는 입력 요소의 총 개수를 반환elements는 해당 form요소 안에 있는 모든 자식 입력요소를 나타낸다.index를 통해서 특정 입력요소 접근 가능입력요

HTML 요소의 style속성의 값을 접근하거나 변경HTML 요소의 class 속성값 접근DOMTokenList, 유사배열 형태